경제·금융 경제동향

4월 나라살림 적자 46.1조원…역대 세번째로 커

기재부 '월간 재정동향 6월호'

4월 말 총수입 231.1조원…총지출 262.3조원

기획재정부 중앙동 청사 모습.기획재정부 중앙동 청사 모습.




나라 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가 올해 4월 기준 46조 1000억 원을 기록했다. 법인세와 소득세 등 세수가 확충된 영향으로 전월에 비해 15조 2000억 원 개선됐지만 역대 세 번째로 큰 규모다.

12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6월호’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국세수입은 142조 2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조 6000억 원 증가했다. 법인세가 13조 원 늘고 소득세가 3조 5000억 원 걷힌 영향이다. 부가세는 6000억 원 감소했다.



세외수입은 15조 1000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4조 원 확대됐다. 기금 수입의 경우 73조 7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조 9000억 원 감소했다. 고용보험기금과 산업재해보상보험 및 예방기금 등이 감소한 영향이다. 정부의 총수입은 지난해보다 17조 7000억 원 증가한 231조 1000억 원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올해 1~4월 총지출은 지난해보다 1조 9000억 원 증가한 262조 3000억 원을 기록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31조 2000억 원을 기록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성기금을 제외한 정부의 관리재정수지는 46조 1000억 원 적자다. 전월 기준 적자는 61조 3000억 원이었으나 법인세와 소득세가 걷히며 적자 폭이 15조 2000억 원 감소했다. 4월 기준으로는 지난해(64조 6000억 원)와 2020년(56조 6000억 원)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다.

중앙정부 채무는 4월 말 기준 1197조 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1175조 9000억 원)에 비해서는 21조 9000억 원 증가했다.

5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19조 원이었다. 외국인 국고채 순투자는 5월 들어 9조 1000억 원 순유입됐다. 1~5월 국고채 총발행량은 100조 2000억 원으로 연간 총발행 한도의 48.4%를 기록했다.


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