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예보료 할증' 금융사 11개사 늘어…'실적악화' 저축은행 비중 높아





예금보험공사가 금융회사들로부터 받는 예금보험료를 표준요율보다 더 많이 내야 하는 금융회사가 지난해보다 11곳 늘어났다.



예보는 16일 은행·보험회사·금융투자회사·저축은행 등 269개 부보금융회사(예보가 예금을 지급 보장하는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사업연도 차등평가등급’ 결과를 확정하고 이에 따른 예금보험료율을 개별 통보했다.

관련기사



2024사업연도 평가 결과는 A+등급 25개, A등급 17개, B등급 127개, C+등급 34개, C등급 66개로 집계됐다. 전년도 대비 할인 등급(A+·A)은 11개사가 감소했고, 할증 등급(C+·C)은 11개사가 증가했다. 예보가 금융회사들로부터 받는 예금보험료는 매년 금융회사별 재무상황 등에 따라 차등 부과된다. 등급별로 △A+등급 10% 할인 △A등급 7% 할인 △B등급 표준요율 △C+등급 7% 할증 △C등급 10% 할증이 이뤄진다.

업권별로는 은행업권이 상대적으로 할인 등급에 다수 분포했다.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저축은행업권은 경기 부진 등 자산 건전성과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할증 등급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024사업연도 예상 예금보험료는 2조 4773억 원으로 전년 대비 375억 원 감소했다. 부보예금의 증가로 257억 원이 늘어났지만 평가등급 변동으로 인해 감소했다.

예보 관계자는 “차등예금보험료율제도가 부보금융회사의 자발적인 건전 경영을 유도하고 리스크 관리 노력에 대한 보상을 적절히 제공하는 제도로 기능하도록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