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1년 이상 미취업 청년 56.5만명…3년 이상은 23만명 달해

[통계청 5월 청년층 부가조사]

고용률 작년比 0.7%P 줄어 46.2%

경제활동참가율은 0.8%P↓ 49.5%

첫 일자리 평균 근속 기간 18.4개월

송준행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이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 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송준행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이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 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졸업하고 1년 넘게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층 비중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첫 직장을 얻은 후 근로 여건에 대한 불만으로 이직한 청년도 늘어났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5년 5월 청년층 부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368만 2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5만 명 감소했다. 청년 경제활동참가율은 49.5%로 전년보다 0.8%포인트 하락했고 고용률도 0.7%포인트 줄어든 46.2%였다.



최종 학교 졸업자 중 일자리가 없는 청년의 미취업 기간은 지난해보다 더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이상 미취업 청년은 56만 5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 3000명 줄었지만 비중은 46.6%로 1%포인트 상승했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은 23만 명에 달했다. 같은 기간 비중은 18.5%에서 18.9%로 더 커졌다.

관련기사



청년들이 졸업 후 첫 직장을 구하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11.3개월로 전년보다 0.2개월 줄었다. 하지만 첫 일자리 평균 근속 기간은 1년 6.4개월로 오히려 0.8개월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 1위는 ‘보수·근로시간 등 근로 여건 불만족(46.4%)’이었다. 이는 전년보다 0.9%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대학 졸업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4년 4.4개월로 전년보다 0.6개월 증가했다. 졸업자 중 본인 전공과 직업이 매우 불일치한다는 응답은 37.0%에 달했다. 약간 불일치 응답도 12.1%였다. 대졸자 10명 중 5명이 실제 전공과 직무가 일치하지 않은 것이다.

한편 올해 취업준비생 중 취업 시장 준비로 ‘일반 기업체’를 선택한 비율은 36.0%로 전년 대비 6.3%포인트 상승해 2006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공무원을 택한 비율은 18.2%로 5.0%포인트 하락했다. 송준행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지난해에 처음으로 일반 기업체와 일반직 공무원의 순위가 역전됐는데 올해는 그 차이가 더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상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