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악' 소리 듣고 위험 감지…AI 경찰차 개발 본격화

차세대 지능형 순찰플랫폼 과제 착수

위험요소 등 파악해 상황실에도 전달

지명수배 차량 자동 감지 시스템도

경찰청 깃발. 뉴스1경찰청 깃발. 뉴스1




경찰이 비명만 듣고도 취객의 소란인지 실제 위급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경찰차 개발을 위해 128억 원을 투입한다. ★본지 2월 14일자 1면 참조



28일 경찰청은 이달 24일 ‘차세대 지능형 순찰 플랫폼’ 연구개발 과제 착수 보고회를 갖고 올해 7월부터 2029년 5월까지 연구개발 과제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차세대 지능형 순찰 플랫폼’은 AI를 중심으로 한 첨단기술을 활용해 순찰차 내 멀티모달 센서를 탑재,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분석해 경찰관의 현장 판단 및 대응을 지원하는 통합 시스템이다.

주요 개발 목표 중 하나는 비명과 사이렌 등 음성인식 기반의 현장 위치 탐지 및 긴급 출동 지원이다. 순찰 과정에서 음성·장면 등 상황을 인지하고 위험도를 분석하는 AI 플랫폼을 활용해 경찰차에 장착하는 방식이다.

또한 순찰 동선 최적화 및 순찰 보고서 자동 작성 기능도 경찰차에 탑재된다. 실시간으로 위험 요소, 위치, 시간, 주요 상황, 발견 흉기 등을 분석해 상황실 등에 텍스트형 리포트를 전달하는 기술이다. 그 외에 지명수배 차량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범죄 특화 객체 인식’과 출동 경로에 사고나 공사 현장 등 장애물이 있는지 등을 파악하는 ‘주변 이상 상황 탐지’ 등 AI 기반 현장 분석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다.

경찰은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기존의 수동적 순찰을 넘어 AI가 판단과 대응을 보조하는 능동형 순찰 체계로의 전환을 시도할 방침이다. 최주원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은 “마치 영화 속 ‘전격Z작전’의 AI 자동차 키트나 ‘아이언맨’의 AI 비서 자비스처럼, 현장을 인식하고 판단해 지원하는 첨단 순찰 시스템을 현실화하겠다”고 밝혔다.


채민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