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북한 무인기 침투 숨기려 했나"…백령도 방공레이더 '야간 중단' 정황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025년 7월 19일자 보도를 통해 공개한 무인기 사진.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025년 7월 19일자 보도를 통해 공개한 무인기 사진.




북한 무인기 침투를 탐지할 수 있는 백령도의 국지방공레이더가 지난해 하반기 일정 기간 동안 비정상적으로 운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군이 해당 레이더를 비정상적으로 운용한 정황이 군 내부 제보로 확인되면서 북한 도발을 유도해 '12·3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려 했다는 이른바 '평양 무인기 작전'을 은폐하려 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31일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실이 확보한 군 관계자 제보에 따르면, 백령도에 주둔 중인 해병대 6여단은 작년 하반기 일정 기간 동안 국지방공레이더를 주간에만 운용하라는 지시를 상부로부터 받았다. 이 레이더는 북한의 소형 무인기까지 탐지할 수 있으며 지난해 1월부터 정상 운용돼 왔다.



지시 배경에 대해 군 내부에서는 "레이더가 한 대뿐이라 주간에 집중 운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해명이 나왔지만 북한의 드론이나 오물 풍선이 수시로 등장했던 안보 상황을 고려할 때 야간 운용 중단은 상식 밖이라는 지적이 잇따랐다.

관련기사



특히 해당 시기는 드론작전사령부가 북한에 무인기를 세 차례 투입한 시점과 맞물린다. 드론사는 지난해 10월 3일과 8~9일, 11월 13일에 무인기를 북측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군이 야간에 레이더를 작동하지 않음으로써 우리 군 무인기의 경로가 아군에게 탐지되는 것을 피하려 했던 것 아니냐는 정황이 포착된 셈이다.

현재 해당 레이더는 주간에 주로 운용되고 야간에는 불규칙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추 의원은 "만약 야간에 레이더가 운용되지 않는 사이 북한 무인기가 백령도를 통해서 넘어왔다면 우리는 사실상 무방비 상태가 됐을 것"이라며 "무리한 북풍몰이 과오를 감추기 위해 엄청난 안보 공백을 초래한 이적행위로 판단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를 위한 명분 마련을 목적으로 무인기 작전을 지시했는지 여부를 수사 중이다. 군이 이 과정에서 정상 지휘 체계를 무시한 채 작전을 기획·실행했는지 그리고 작전 이후 조직적으로 은폐 시도를 했는지에 대해서도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북한 무인기 침투 숨기려 했나"…백령도 방공레이더 '야간 중단' 정황



임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