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AI가 불붙인 반도체 투자…10대 기업 투자액 3년 만에 증가세 전환

올해 187조원 전망…전년비 7%↑

TSMC·SK 하이닉스, 설비 확대 나서

삼성은 보합…6분기 적자 인텔 축소

반도체 품목별 공급 과잉 경고도

대만 TSMC. 연합뉴스대만 TSMC. 연합뉴스




인공지능(AI) 열풍을 타고 세계 10대 반도체 기업의 투자액이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된다.



5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세계 주요 반도체 업체 10곳의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연간 설비투자 총액은 전년보다 7% 증가한 1350억 달러(약 187조 원)에 이를 것으로 집계됐다. 투자액이 전년 대비 증가세로 돌아서는 것은 2022년 이후 처음이다. TSMC·SK하이닉스·마이크론테크놀로지·SMIC 등 10개사 중 6곳이 투자를 늘릴 것으로 파악됐다. AI 반도체 수요 확대에 대응한 설비 확충이 핵심이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인 대만 TSMC는 전년보다 30% 많은 380억∼420억 달러(약 53조∼58조 원)를 투자한다. 일본 구마모토 제2공장 착공과 미국 애리조나 공장 확장, 독일 공장 건설 비용이 포함됐다. 미국 마이크론은 전년보다 70% 증가한 140억 달러(약 19조 원)를 설비에 투입하고 SK하이닉스도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3년 만에 최대 수준의 투자를 단행한다. 중국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SMIC 역시 자사 역대 최대인 75억 달러(약 10조 3748억 원)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삼성전자는 텍사스 신공장에 대한 투자를 늘리되 메모리 시장 침체로 국내 투자는 축소해 전체 투자 규모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관측됐다. 인텔은 6분기 연속 적자로 투자액을 약 30% 줄인 180억 달러(약 25조 원)로 조정하기로 했다. 닛케이는 “생성형 AI용 제품과 고객 기반을 확보한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간 명암이 극명하게 갈렸다”고 짚었다.

AI 반도체 시장은 향후 수년간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반도체 설계 기업 AMD는 AI 반도체 시장 규모가 2030년 5000억 달러(약 691조 원)로 올해보다 3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품목별로는 공급과잉 우려도 나온다. 이미 일부 조정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도쿄일렉트론은 일부 고객의 투자 계획 변경으로 2025년 10월~2026년 3월 신규 장비 매출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