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李대통령 “내가 친중? 주관적 평가에 불과…절연하고 살 수 있나”

“특정 국가와만 외교해서는 살 수 없어”

대북 정책에 “2018년보다 상황 나빠져”

“한반도 비핵화 위한 소통 필요성 더 커져”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 이륙 뒤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공군 1호기 기내에서 기자간담회 장소로 향하며 취재진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 이륙 뒤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공군 1호기 기내에서 기자간담회 장소로 향하며 취재진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도착해 공군 1호기에서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도착해 공군 1호기에서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과 일본을 순방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한중관계에 대해 “내가 친중이라는 것은 주관적 평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일본을 떠나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전용기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외교에서 친중, 혐중이 어디있냐”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에서는 이 대통령의 친중 성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는 취지의 질문에 이 대통령은 “국익에 도움이 되면 가깝게 지내는 것이고 도움이 안 되면 멀리하는 것 아닌가”라며 “천편일률적이지 않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이어 “우리 외교의 근간은 한미동맹이지만, 그렇다고 중국과 절연하고 살 수가 있느냐”며 “중국과 절연하지 않아서 제가 친중이라고 한다면, 그런 의미에서의 친중은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이러다가 저에 대해 친북·친러, 어쩌면 친공(친공산주의)이라는 말이 나올지도 모르겠다”며 “그런 것에 연연하지 않으려 한다. 대한민국은 특정 몇몇 국가와만 외교를 해서는 살 수 없는 나라”라고 거듭 강조했다.

관련기사



한미정상회담에서 다뤄질 대북 정책 의제에 대해선 “제한 없이 필요한 얘기는 다 해볼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북한 문제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이니까 핵 문제든 북한 문제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관한 것은 대한민국 안보 문제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라며 “그 얘기는 누가 하든지 아마 한 번쯤은 해 보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길을 한번 만들어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미 관계가 해빙기를 맞았던 것처럼 오는 10월 열리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활용해 북한 문제 진전을 꾀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취지의 질문에 “2018년과 상황이 비슷해 보일 수는 있으나 객관적으로 전혀 비슷하지 않고 훨씬 나쁘다”고 진단했다.

이 대통령은 “적대감도 매우 커졌고 북한의 핵무기·미사일 개발도 그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고, 주변국 관계도 많이 나빠졌다”며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대화와 소통, 협력의 필요성은 변함없다. 어쩌면 상황이 나빠진 만큼 그 필요성은 훨씬 더 커졌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각고의 노력으로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확보하는 게 대한민국이 사는 길이라는 우리 입장에 대해 총력을 다해 주변국을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李대통령 “내가 친중? 주관적 평가에 불과…절연하고 살 수 있나”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