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헬스

"접촉 통해 전파된다는데 어쩌지"…3개월만 17배 폭증한 '이병', 예방하려면?

해당 기사와 무관. 이미지투데이해당 기사와 무관. 이미지투데이




영유아 사이에서 유행하는 수족구병 환자가 최근 3개월 사이 17배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7일 아동이 있는 가정과 보육시설에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33주차(8월 10~16일)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26.7명을 기록했다. 21주차(5월말) 1.5명에 불과했던 수치가 꾸준히 증가해 3개월 만에 17.8배 늘어난 것이다. 특히 0~6세 의사환자분율은 36.4명으로 7~18세(7.1명)보다 5배 이상 높았다.

관련기사



수족구병은 손·발·입안에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발열, 무력감, 식욕감소, 구토·설사 등 위장관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장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며, 환자 분비물이나 오염된 장난감·집기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대부분 발병 7~10일 후 자연 회복하지만 드물게 뇌수막염·뇌염·마비 등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보건당국은 6개월 미만 영아, 수분 섭취 부족, 2일 이상 발열 시 반드시 의료기관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했다. 수족구병 환자는 타인 접촉을 피해 어린이집 등원과 외출을 자제해야 한다. 질병청은 "봄에서 가을까지 발생하는 특성상 당분간 환자 발생이 지속될 것"이라며 "보육시설은 장난감·놀이기구·문손잡이 등 소독관리를 철저히 하고, 식사 전후·화장실 사용 후 손씻기 등 개인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수족구병 환자가 완전히 회복한 후 등원할 수 있도록 안내해달라"고 당부했다. 질병청은 환자 급증 추세가 지속될 경우 추가 대응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접촉 통해 전파된다는데 어쩌지"…3개월만 17배 폭증한 '이병', 예방하려면?


현수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