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의료진 86%가 믿는 의료 AI, 환자는 60%만 신뢰

필립스코리아 '헬스케어 AI 신뢰 격차 보고서'

서비스 개선·치료 계획 수립 등

긍정 응답 비율 20%P 이상 差

필립스코리아 관계자가 27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미래건강지수 2025 한국 보고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필립스코리아필립스코리아 관계자가 27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미래건강지수 2025 한국 보고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필립스코리아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인공지능(AI)에 대해 의료진과 환자의 신뢰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필립스코리아는 27일 서울 한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헬스케어 AI에 대한 환자와 의료진 간 신뢰 격차’를 주제로 한 ‘미래건강지수 2025 한국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16개국 1926명의 의사·간호사 등 의료진과 1만 61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우리나라는 의료진 100명, 환자 1000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의료진의 86%는 AI가 환자 치료 결과를 개선할 것으로 답변했지만, 환자의 긍정 응답 비율은 60%에 그쳤다. 환자 개인에 대한 맞춤형 치료 계획 수립 능력도 의료진은 92%가 가능하다고 봤지만, 환자들은 71%만이 긍정적으로 답했다.

관련기사



AI가 환자 치료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에 대해서도 의료진과 환자 간 시각이 엇갈렸다. 의료진은 AI를 통해 더 많은 환자를 진료하고(92%), 대기 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91%)고 답했다. 또 조기 개입으로 생명을 살리고(90%), 급성·응급 의료 처치를 줄이며(86%), 병원 입원율 감소(84%)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환자는 AI가 의료 서비스를 개선할 것이라는 응답이 10명 중 6명으로 의료진보다 눈에 띄게 낮았다. 오히려 AI가 도입되면 의사와 대면 시간이 줄어들 것(46%)이라는 우려가 가장 컸다.

필립스코리아는 헬스케어 AI에 대한 신뢰를 높이려면 △개발 초기 단계부터 이해관계자 참여 △전문가 대상 체계적 AI 교육 △임상 환경에서의 일관된 성능 △명확한 의료 AI 가이드라인 △의료 생태계에 부합하는 보상 모델 등이 5가지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은경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장은 "AI 도입의 성공 여부는 의료진과 환자의 신뢰 구축에 달렸다"며 "검증된 사례와 명확한 근거를 지속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