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헬스

자해·자살 시도 10명 중 4명은 1020세대…"정신관리·사회적 대응 시급"

질병청 '2024 손상유형 및 원인 통계' 발표

응급실 자해·자살환자 비중 2.2→8.0% 급증

1020 비율 39.4%… 10년 만에 12.7%P 늘어

자해·자살 시도자의 연령 변화. 질병관리청자해·자살 시도자의 연령 변화. 질병관리청





지난해 자해·자살 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10명 중 4명이 10~20대 청소년·청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자해·자살 시도 중 1020세대 비중은 10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었다. 국민 전체는 물론 청소년·청년층에 대한 정신건강 관리와 사회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련기사



질병관리청이 28일 발표한 ‘2024 손상유형 및 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응급실을 찾은 전체 손상환자 중 자해·자살 환자 비율은 8.0%로 2014년 2.2%에서 10년 만에 3.6배 늘었다. 전체 손상 환자들 중 자해·자살과 폭력·타살 등 의도적 손상 비율은 11.1%로 조사 이래 가장 높았다.

특히 10~20대의 자해·자살 시도 비중이 크게 늘었다. 2014년 26.7%였던 1020세대 자해·자살 시도 비중이 지난해 39.4%로 12.7%포인트 뛰었다. 자해·자살 시도 이유는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가 45.6%로 가장 많았고, 시도한 장소는 주로 집(84.1%)인 것으로 집계됐다. 방법으로는 중독이 67.4%로 가장 많았고, 원인 물질로는 진정제·항정신병약·수면제·진통제·항류마티스제·항우울제 등 치료약물이 91.1%를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정신건강 악화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한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청소년기 자해·자살 증가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직면한 심각한 과제”라며 “자살예방 정책 강화와 가정 내 약물 안전관리 등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지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