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삼성전자·SK하이닉스 긴장해야겠네"…'연봉 2억' 걸고 韓인재 노리는 마이크론

기사 내용과는 무관한 사진. 클립아트코리아기사 내용과는 무관한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메모리 3사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3위 메모리반도체 기업 미국 마이크론이 한국인 엔지니어 확보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마이크론의 한국 인재 빼가기가 계속되면서 업계 우려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최근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킹 플랫폼 '링크드인'을 통해 대만 타이중 지역의 팹(공장)에서 일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엔지니어들의 경력 채용을 진행 중이다. 대만 공장은 마이크론의 최대 D램 생산기지로, HBM도 이곳에서 만들어진다.



채용 방식은 현지 헤드헌터가 링크드인에 게재된 엔지니어들의 이력·프로필을 보고 접촉해 포지션을 제안하는 식이다. HBM과 패키징 관련 직무가 다수로, 일부 엔지니어에겐 임원급 직무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론이 제안한 임원급 직무의 연봉은 최대 2억원대(보너스 등 포함)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앞서 마이크론은 지난해 말 대만 타이중에서 일할 국내 반도체 엔지니어의 경력 면접을 경기도 판교 일대 호텔에서 실시한 바 있다. 오퍼 조건으로는 연차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원천징수 기준 10∼20% 임금 인상, 거주비 및 비자 프로세스 지원 등을 내놨다. 비슷한 시기 국내 주요 대학에서 '당일 채용(사전 지원자 대상)'이라는 파격 조건까지 걸고 채용 설명회를 열기도 했다.

이 같은 마이크론의 행보는 현재 증설 중인 글로벌 거점 팹의 인원 충원과 D램에서 우위에 있는 한국 업체들의 엔지니어를 통해 HBM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SK하이닉스에 이어 두 번째로 'AI 큰손' 엔비디아에 HBM3E(5세대)를 공급하고 있는 마이크론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비교해 부족한 캐파(생산능력) 확대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산제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실적발표에서 "2030년까지 HBM 시장이 1000억달러 규모로 커질 것"이라며 "HBM의 성장세는 일반 D램의 성장세보다 뚜렷하고 이 추세는 내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에브리싱 랠리' 속 울린 과열 주의보…기대감·경계심 공존한 한 주 [선데이 머니카페]

국감 이슈 장악한 김현지, SNS 언급량 104배 늘었다 [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공매도 1조 vs 빚투 23조 폭발의 진실 [AI PRISM x D•LOG]


김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