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6년 만에 중국을 방문한다. 김 위원장의 방문으로 이달 말부터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이어 내달 전승절 행사까지 중국에 머무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사상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이게 된다.
중국 관영통신 신화사는 28일 조선노동당 총비서이자 국무위원회 위원장인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 80주년)’ 기념 행사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은 이날 전승절 80주년 준비 상황 브리핑에서 “시진핑 주석의 초청으로 26명의 외국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뇌가 기념 활동에 참석한다”며 김정은 위원장 등 참석자 명단을 발표했다. 훙 부장조리는 "중국과 조선(북한)은 산과 물이 이어진 우호적 이웃"이라며 "우리는 김정은 총서기(총비서)가 중국을 방문해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활동에 참석하는 것을 열렬히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고난과 역경의 전쟁 시기, 중조(중북) 양국 인민은 서로 지지하고 함께 일본 침략에 맞서 세계 반파시스트전쟁과 인류 정의 사업의 승리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며 “중조의 전통적 우호를 잘 지키고 공고히 하며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 당정의 굳은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훙 부장조리는 “중국은 조선과 함께 교류·협력을 계속 강화하면서 사회주의 건설을 추진할 용의가 있다”며 “이 길에서 함께 손잡고 앞으로 나아가면서 지역의 평화·안정을 촉진하고 국제적 공평·정의를 지키는 사업에서 긴밀히 협조해 중조 전통적 우호의 새로운 장을 써내려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북한의 조선중앙통신도 김 위원장의 방중 소식을 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동지께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습근평(시진핑) 동지의 초청에 따라 곧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을 방문하게 된다”고 보도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하고, 시 주석을 만나는 것은 모두 2019년 이후 6년 만이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2018년 3월 첫 방중한 데 이어 그해 5월과 6월에도 잇따라 중국을 찾았다. 김 위원장은 2019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1기 집권 당시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을 방문해 시 주석을 만났다. 같은 해 6월에는 시 주석이 평양을 찾아 회담했으나 이후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북중 국경이 봉쇄된 이후 두 정상의 만남은 없었다.
북중 양국은 코로나19 기간 왕래가 중단된 이후 북러가 밀착하며 관계가 소원해졌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으나 올해 초부터 다시 교류가 활발해지는 추세다. 이런 상황에 김 위원장의 방중이 성사되면서 북중 양국이 더욱 밀착하게 될 지 주목된다.
특히 김 위원장은 방중으로 푸틴 러시아 대통령까지 북중러 3국 정상이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이게 돼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최근 한미 정상회담이 이뤄진 직후에 북한과 중국, 러시아 3국이 모여 어떤 논의를 할 지도 주목된다. 한편 한국에선 우원식 국회의장이 이번 전승절 80주년 행사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김 위원장과 한 자리에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열병식 행사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이름은 빠진 것으로 확인돼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모디 총리뿐만 아니라 고위급 정부 관계자도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모디 총리는 전승절 직전에 열리는 SCO 정상회의에 맞춰 중국 톈진을 방문할 예정이다. 그의 중국 방문은 2018년 6월 SCO 정상회의 참석차 칭다오를 찾은 이후 7년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