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태어난 지 100일 됐어요"…서울대공원서 3년 만에 탄생한 '멸종 위기' 새끼 호랑이

서울대공원에서 태어난 새끼 호랑이.서울대공원 제공서울대공원에서 태어난 새끼 호랑이.서울대공원 제공




서울대공원에서 태어난 새끼 호랑이와 어미(출산 다음날).서울대공원 제공서울대공원에서 태어난 새끼 호랑이와 어미(출산 다음날).서울대공원 제공


서울대공원이 멸종위기종 보전을 위한 꾸준한 노력 끝에 새 생명을 맞이했다.



12일 서울대공원에 따르면 지난 6월 6일 현충일 낮 12시께 순수 혈통의 암컷 시베리아 호랑이가 태어났으며, 이달 13일에 출생 100일을 맞는다. 서울대공원에서 호랑이가 태어난 것은 2022년 4월 이후 약 3년 만이다.

서울대공원 관계자는 "새끼호랑이의 부모 개체는 모두 15세의 노령으로, 일반적으로 번식이 어려운 상황에서 출산이 이뤄져 더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새끼 호랑이의 아버지 '로스토프'와 어머니 '펜자'는 2010년 러시아 야생에서 태어나 2011년 한·러 수교 20주년 정상회담을 기념해 서울동물원으로 옮겨졌다.

관련기사



이 두 마리도 순수 혈통의 시베리아 호랑이로, 서울대공원의 세심한 보살핌 속에 생활해왔다. 시베리아 호랑이는 '아무르호랑이'로도 불리며, 과거 한반도에 서식했던 한국 호랑이와 같은 혈통이다.

서울대공원은 노령 개체가 건강하게 출산할 수 있었던 이유로 꾸준한 사육환경 개선을 꼽았다. 맹수사 뒤편 관리도로에는 서양 측백나무를 촘촘히 심어 차량과 관람객의 소음을 차단하고, 올 초부터는 관리도로 개장 시간을 1~2시간 늦춰 호랑이가 충분히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메디컬 트레이닝으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며 채혈 등 건강검진을 시행했고, 행동풍부화 프로그램을 통해 호랑이의 심리적 안정까지 챙겼다.

서울대공원은 앞으로도 새끼 호랑이의 건강관리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새끼의 이름은 시민 공모로 정하며, 1~4차 예방접종을 마친 11월 중순께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박진순 서울대공원장은 "기후 변화와 생물 다양성 위기 속에서 귀한 동물의 출산 소식을 전할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새끼호랑이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 동물원의 종보전과 동물복지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