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독서기획] 한강·텍스트힙 효과에 작년 신간발행 반짝 상승…올해도 어이질까

작년 7212만부로 전년보다 2.7% 늘어

6년만의 활황…"지속 위해선 특단대책 필요"

서울의 한 대형 서점에서 한 시민이 베스트셀러 서적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서울의 한 대형 서점에서 한 시민이 베스트셀러 서적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노벨문학상 수상과 ‘텍스트힙’ 열풍으로 국내 신간 발행 부수가 전년 대비 2.7% 늘어났다. 발행 부수가 전년 대비 늘어난 것은 6년 만인데 이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특단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대한출판문화협회의 ‘2025 한국출판연감’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신간 발행 부수는 총 7212만 부로 전년(7021만 부)보다 2.7% 증가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종수로는 문학(22.0%), 부수로는 아동 도서(20.6%)였다.

관련기사



지난해 성과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가 연간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르며 전반적인 문학 시장 반등을 견인했고 한국 문학의 해외 진출, 옛 도서 역주행, 중견 작가 복귀 등 긍정적 효과가 이어졌다. 여기에 2030세대를 중심으로 텍스트힙(text+hip·독서하는 것이 멋지다) 열풍이 불면서 책이 ‘소유와 경험’의 대상으로 확장된 것도 출판 시장에 도움이 됐다는 평가다.

다만 국내 신간 발행 부수는 1990년 2억 4183만 부로 정점을 찍은 뒤 매년 감소하는 중이다. 2018년 1억 173만 부로 잠깐 상승하기도 했지만 이후 다시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반등이 올해도 지속될지 주목되는 이유다. 출판협회 측은 “한강 효과와 텍스트힙이 지속 가능하도록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수문 선임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