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28일부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을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2일 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지난 달 말부터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에 이전하는 작업에 착수했으며, 14일부터 시범가동 후 28일 본격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달 30일 NHN과 대구센터 공간 임대 계약을 체결한 뒤 서버, 네트워크 장비, 보안장비 등을 마련하고 있다. 14일부터는 안전성 검증 후 서버 개통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신속한 복구를 위한 예비비 활용을 위한 절차에도 착수했다. 김 차관은 “기획재정부와 1일부터 예비비 확보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인력과 예산 집행이 즉각적으로 이뤄지도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복구인력 투입과 신규장비 구매 관련 비용은 선 집행 후 지급할 예정이다.
앞서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전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 현안 질의에서 2026년 예산에 이중화 사업 예산이 반영되지 않은 것을 두고 “국회에서 증액해 주면 기획예산처와 협의 해서 내년 예산 확보하겠다”며 "국가전산망 마비사태 원인 분석과 동시에 내년 예비비 투입해서라도 이중화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 12시 기준 647개 중 112개 시스템이 복구돼 복구율 17.3% 기록했다. 1등급 시스템은 여전히 21개에 불과했다. 김 차관은 "복구속도가 더딘 이유 중 하나는 화재 영향이 적은 전산실 시스템이라도 화재가 발생한 5층의 7∼8 전산실 시스템과 연계가 돼 운영되고 있는 것이 많기 때문"이라며 "시스템의 빠른 복구를 위해 화재가 난 5층 전산실 복구에 속도를 올리고 있고, 대전 본원의 무정전·전원장치(UPS) 기반 인프라를 교체하고 손실 서버 네트워크 등 장비를 재배치 중"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배터리 분리 당시 충전율(SOC)이 80%였다는 점이 직접적인 화재 원인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화재와 직접 연관이 있는지 여부는 감식 중이라 밝힐 수 없다”면서도 “소방점검을 받지 않은 게 적절하지 못한 조치였으며, 무리가 있다고 하더라도 점검을 받는 게 더 옳은 판단이었을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정부는 추석 명절을 맞이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중앙부처와 지자체 간 24시간 상황관리 체계를 유지하고, 재난 발생 즉시 재난안전통신망으로 상황을 전파하고 재난 문자로 안내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각 지자체는 민담전담지원반을 구성해 추석연휴 비상운영에 들어가고, 비상연락체계 유지, 필수요원의 현장 근무 등으로 24시간 근무체계를 지속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