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지역에서 불법 고용 혐의로 한국인들이 대거 구금됐던 사건이 발생했던 가운데, 최근 이 지역에서 대량 실업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3일(현지 시간) 현지 언론 '애틀랜타 저널 컨스티튜션'(AJC)은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지역에서 제지공장이 잇달아 문을 닫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인터내셔널 제지 공장은 지난달 30일 조지아주 서배너와 라이스보로에 위치한 공장 2곳의 문을 닫았다. 이들 공장은 현대자동차 메타플랜트가 위치한 메트로 서배너 지역에 자리하고 있으며, 90년 동안 서배너의 풍부한 삼림 자원을 이용해 종이 상자와 포장재 등을 생산해왔다. 이들 지역의 경우 목재운반용 대형 트럭이 일반 자동차보다 많을 정도로 목재 관련 산업이 발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는 이번에 공장이 문을 닫게 되면서 기술자와 공장 운영자, 중간관리자 등 임직원 1100명이 일자리를 잃게 됐다고 전했다. 특히 이들 공장에 목재를 납품해온 삼림 및 벌목업 종사자 5만 2000여명도 심각한 타격을 받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 것으로 보인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 외에 토지 소유주와 삼림 관리자, 벌목공, 목재 운반 차량 운전자 등으로 여파가 확산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조지아주의 경우 제지업과 벌목업 등 목재 관련 업종이 주 전체 제조업의 6%를 차지하고 있다. 주는 목재산업을 추가로 지원하거나 다른 공장으로의 용도 전환과 관련해 고민하고 있었고,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공장이 서배너 지역에 들어섰다. 그 결과 이 지역에 창고와 물류센터가 지어지고 있는 것은 물론 주택 판매까지 활성화되고 있다. 매체에 따르면 현대차 및 관련 업종은 2031년까지 이 지역에 1만 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앞서 미국 이민 당국은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사인 'HL-GA 배터리'가 미 조지아주 서배나에 짓는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을 단속했고 불법 고용 혐의로 475명을 구금했다. 이후 한국인 316명과 외국인 노동자 14명(중국 10명, 일본 3명, 인도네시아 1명) 등 330명이 체포·구금된 지 8일 만인 지난달 12일 전세기를 통해 귀국했다. 당시 귀국자 중에는 임신부도 포함돼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