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가격이 트로이온스(31.1034768g)당 3900 달러를 사상 처음으로 돌파하면서 4000달러 선을 눈앞에 두게 됐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지속되고 각종 경제지표 발표도 이뤄지지 않는 등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어 안전자산 수요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6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세계표준시(UTC) 6일 00시 27분 기준으로 금 가격은 3900.40 달러를 나타냈다. 이에 앞서 3919.59달러까지 오르기도 했다. 12월 인도분 미국 금 선물 가격도 한때 3926.80달러까지 급등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UTC 6일 00시 45분 기준으로 금 가격은 3905.54 달러로 0.5% 올랐다. 한 때 3920.63달러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금 가격은 올 들어 사상 최고가 기록을 수시로 갈아치우고 있다. 올 들어서만 약 49% 상승했다.
전문가들이 다양한 분석을 내놓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장에 가져온 충격이 전체적인 요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경제적,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안전 자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각국 중앙은행들이 비(非)달러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기 위한 구매 등도 금 값 급등 배경으로 꼽힌다.
최근 한국표준금거래소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 중인 한 돈(3.75g)짜리 돌 반지는 80만 원대로 치솟았다. 머지 않아 한 돈 100만 원을 돌파할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인 돌 반지 선물 문화도 최근 점점 위축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돌잔치를 가족끼리 소규모로 여는 경향이 커졌고 무엇보다 금값이 급등하면서 돌 반지를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가 확산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