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내 종목 규모에 따라 수익률 편차가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주는 코스피 상승률을 웃돌았지만, 중형주와 소형주 상승세는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특히 소형주 상승폭이 미미하다는 분석이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0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73% 상승한 3610.60에 장을 마감했다. 장중에는 3617.86까지 치솟았다. 지수가 3500을 넘긴지 1거래일 만에 3600선을 돌파했다. 이로써 올해 코스피는 지난해 말 2339.49에서 50.5% 상승했다.
코스피 강세에도 상장사 규모에 따라 상승폭에는 격차가 컸다. 수익률이 가장 높은 쪽은 대형주였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위∼100위로 구성된 대형주 지수는 올해 54.7% 상승하며 코스피 수익률을 웃돌았다. 상승세를 이끈 건 반도체주였다. 삼성전자는 올해 5만 3200원에서 9만 4400원으로 77% 상승했고, SK하이닉스는 17만 3900원에서 42만 8000원으로 146% 뛰었다.
시총 상위 101위∼300위로 구성된 중형주 지수는 올해 32.8% 올랐는데 코스피 수익률 50.5%을 하회했다. 중형주 지수 내 200개 종목 중 144개 종목의 주가가 올랐고 50개 종목 주가는 하락했다. 중형주 내 하락 종목 비율은 25%로 대형주 하락 종목 비율(11%)을 앞섰다.
상승폭이 가장 저조했던 것은 소형주다. 코스피 소형주 지수는 올해 16.8% 오르는데 그쳤다. 대형주는 물론이고 코스피와 중형주 상승률을 밑돌았다. 소형주 지수 내 541개 종목 중 33%인 179개 종목의 주가가 지난해 말보다 떨어졌다.
대형주 중심 랠리가 이어지면서 상대적으로 개인 투자자의 수익률이 저조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연금과 같은 기관투자자와 외국인이 대형주 중심으로 투자하는 반면, 개인 투자자는 중형주와 소형주 투자 비중이 비교적 높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