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4일 “대북정책을 추진하는 모든 과정에서 평화의 원칙을 확고하고 일관되게 실천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진행된 통일부 국정감사 인사말씀을 통해 “남북 간 대화와 교류가 중단된 기간 동안 북한의 핵 능력은 고도화되고 있고,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의 유동성도 더 심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새 정부 출범 이후에 취한 선제적 긴장 완화 조치로 접경지역의 평화는 회복됐다”면서도 “하지만 아직은 가시적인 남북관계의 변화가 없어 국민들께서 걱정이 크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대통령께서는 광복절 경축사와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의 체제를 존중하고, 흡수통일을 추구하지 않으며, 적대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3원칙을 거듭 밝힌 바 있다”며 “정부는 이를 토대로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을 일관되게 기울여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남북 간의 적대성을 해소하고 평화적인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이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발표한 ‘END 이니셔티브’에 대해 “포괄적 대화로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종식하고 평화공존과 공동성장의 새 시대를 열어가는 구상”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 구상을 중심으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안내하고 한반도 평화 증진과 남북관계 복원을 위한 노력을 지속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무엇보다 국민주권정부의 통일부는 국민참여, 국론통합의 대북·통일정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소통과 참여를 활성화하고 국민께서 공감하고 지지하는 대북정책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정 장관은 “그간 통일부는 지난 정부 시기 사실상 형해화 됐던 남북대화・교류 기능의 복원을 추진해왔으며 현재 국무회의 통과를 앞두고 있다”며 “통일부 본연의 조직과 기능을 바탕으로 평화공존과 공동성장의 한반도를 열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