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악성 임금 체불 급증에…노동부 임채기금 반토막

임채기금, 3472억…올해 더 떨어질 듯

대지급금 매년 늘지만, 회수율 20%

추심 강화·사업주 부담금 인상, 대안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범정부 임금체불 근절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범정부 임금체불 근절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임금체불이 가파르게 늘면서 임금체불 피해자를 도울 정부 기금의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기금 재원을 확충할 수 있는 구조적인 개선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임금채권보장기금(임채기금) 현황에 따르면 적립금은 지난해 3472억 원으로 2022년(6955억 원)보다 50% 급감했다. 올해 적립금은 목표치가 3421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임채기금은 노동부가 사업주를 대신해 임금체불 피해 근로자를 지원하는 대지급금의 재원 기금이다. 매년 가파르게 늘어난 임금체불로 인해 대지급금 지급이 함께 늘면서 기금 적립금도 감소하는 상황에 빠졌다. 올 1~7월 임금체불액은 1조 3420억 원으로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체불액(2조 448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대지급금도 지난해 7242억 원으로 2022년(5368억 원)보다 35% 증가했다.

관련기사



임채기금은 정부가 지급한 대지급금을 사업주로부터 제대로 돌려받으면 건전성이 다시 확보된다. 하지만 대지급금 회수율은 지난해 21.8%에 그쳤다. 2018년부터 매년 20%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지급금 회수율이 낮은 것은 정부가 강제적으로 추심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국세 체납처분처럼 대지급을 회수하거나 하청 임금체불에 대한 원청 연대책임까지 지우는 방안이 꾸준히 거론됐지만 두 방안은 이제서야 제도화된다. 임채기금의 재원인 사업주 부담금 비율(임금 총액 비율)은 2015년 0.08%에서 0.06%로 인하된 후 10년째 동결이다.

그 결과 악성 체불이 늘고 임채기금 재정이 나빠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주영 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반복적인 체불로 2회 이상 유죄 확정을 받은 체불 사업주는 1362명에 이른다. 지난해 임금체불액의 약 70%는 상습 체불 사업주의 체불로 파악됐다. 박 의원은 “낮은 대지급금 회수율은 기금의 재정 건전성을 악화하고 임금체불에 대한 안일한 인식을 확산할 수 있다”며 “노동부는 대지급금 회수 구조를 재점검해서 안정적 제도 운영을 위한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종곤 고용노동전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