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물·화제

"중국 안 보내주면 다 죽일 수밖에"…'멸종 위기' 벨루가 30마리, 무슨 일?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클립아트코리아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클립아트코리아




캐나다의 대표적 해양동물원인 ‘마린랜드(Marineland)’가 파산 위기에 처하면서, 이곳에 남아 있는 벨루가(흰고래) 30마리가 안락사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달 12일(현지시간) BBC와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캐나다 온타리오주 나이아가라 폭포 인근에 위치한 마린랜드는 최근 재정난으로 운영을 중단한 뒤, 정부 지원이 없으면 벨루가 30마리를 안락사시킬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마린랜드는 포획된 고래를 가장 많이 보유한 시설 중 하나로, 한때 주요 관광 명소로 인기를 끌었지만 최근 몇 년간 ‘열악한 사육 환경’과 ‘동물 학대’ 논란에 휩싸였다.



2020년 온타리오주 동물보호 당국의 조사 결과 수질 악화로 해양 동물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2019년 이후엔 벨루가 19마리와 범고래 1마리를 포함해 총 20마리의 고래가 폐사했다.

관련기사



이 같은 상황 속에서도 마린랜드는 재정난을 이유로 벨루가를 중국 광둥성 주하이의 한 테마파크에 판매하려 시도했으나, 캐나다 수산해양부가 수출 허가를 거부했다.

부처 관계자는 “벨루가들이 그동안 겪어온 학대가 계속될 게 뻔하다”며 “수출을 승인한다면 벨루가들은 또다시 대중의 오락거리로 전락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린랜드는 이후 정부에 벨루가 관리 비용을 지원해달라고 요구했지만, 공식 입장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한편 마린랜드의 전 훈련사 필 드머스는 “벨루가들이 하루빨리 이곳을 떠나는 것이 최선”이라며 “미국 내 여러 해양 보호 시설에 나눠 이송하는 방법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제안했다.

동물보호단체와 일부 전문가들은 주정부가 ‘동물복지서비스법’에 따라 벨루가들을 압수하고 관리 감독관을 임명해 돌보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2025년 10월15일(수) 금융면 언박싱 [ON AIR 서울경제]

노벨상 수상자 "관세는 혁신 장애물" K숏폼 100억 계약 [AI PRISM x D•LOG]

[단독] 1년치 해양쓰레기, 수거엔 25년…정화선 부족·노후화 탓


이인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