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금정산, ‘도심형 국립공원’ 눈앞… 김성환 장관·박형준 시장 현장 점검

국립공원위원회 최종 심의 앞두고

생태·문화자원 확인…협력 방안도 논의

“시민과 함께 지속 가능한 보전 추진”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공원경계. 사진제공=부산시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공원경계.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의 대표 명산 금정산이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는 절차의 마지막 관문을 앞두고 있다.



15일 부산시에 따르면 박형준 시장은 이날 오전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과 금정산국립공원 예정지 현장을 방문해 생태·문화자원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방문은 금정산이 최근 중앙산지관리위원회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연이어 통과한 데 이어, 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최종 단계인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앞둔 시점에서 이뤄진다.

기후에너지환경부와 부산시는 이번 현장 점검을 통해 금정산의 생태적 가치와 문화유산 보존 현황을 직접 확인하고 지정 이후의 관리 방향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날 점검 대상지는 금정산 남문습지(금정구)로, 천연습지와 희귀 생물종이 서식하는 대표적 생태 보고다. 김 장관과 박 시장은 국립공원공단으로부터 자연생태계 및 경관자원과 문화자원 현황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지역 시민단체 및 관계기관과 함께 생물다양성 증진과 지역 상생 방안을 논의한다.

관련기사



금정산은 낙동정맥을 따라 이어지는 국가 주요 생태축으로, 천혜의 경관과 풍부한 생태·문화자원을 품은 부산의 상징적 산이다.

2020~2021년 진행된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조사 결과를 보면, 이 지역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3종을 포함한 총 1782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여기에 71곳의 자연경관과 127점의 문화유산이 분포하는 등 ‘생태·경관·문화 삼박자’를 두루 갖춘 명산으로 평가됐다.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은 2005년 시민 여론에서 출발해 2019년 6월 부산시가 환경부에 공식 건의하면서 본격화됐다.

이후 타당성 조사와 주민공람, 주민설명회, 공청회, 지자체 의견 청취, 관계 부처 협의 등 20년에 걸친 행정 절차가 진행됐으며 현재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만을 남겨두고 있다.

김 장관은 이날 금정산 일대뿐 아니라 양산시 호포마을과 부산 범어사도 방문해 국립공원 지정에 대한 현장 의견을 직접 청취할 예정이다.

박 시장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긴밀히 협력해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겠다”며 “시민과 함께하는 지속 가능한 보전·관리 체계를 구축해 금정산을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 선도 모델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