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영훈 노동부 장관 “주 4.5일제, 법제화 안 한다”

“감독·연차휴가 확대로 근로시간 단축”

주 4.5일제, 지원 사업으로 자율 유도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고용노동부에 대한 기후에너지환경고용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고용노동부에 대한 기후에너지환경고용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주 4.5일제를 법제화하는 방식으로 추진하지 않겠다고 재차 밝혔다. 주 5일제처럼 법정근로시간을 줄이는 방식으로 주 4.5일제가 제도화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 장관은 15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가 국회에서 연 노동부 국정감사에서 박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 4.5일제 도입 진행 상황을 묻는 질의에 “(주 4.5일제는) 일방적으로 법 제정을 통해 진행하기 보다 자율적으로 (사업장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한다”며 “주 52시간제 상한제도 못 지키는 사업장에 대해 근로감독을 실시하고, (사업장마다) 연차 휴가를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노동시간을 줄일 생각”이라고 답했다.

관련기사



이재명 정부는 임기 내 1859시간인 연간 근로시간을 1700시간대로 줄일 방침이다. 실근로시간 단축 방안으로 주 4.5일제를 제안하고 주 4.5일제 지원 법안을 연내 마련한다고 밝힌 바 있다.

경영계에서는 주 4.5일제가 주 5일제처럼 법정 근로시간을 줄이는 방식으로 시행될 가능성을 경계해왔다. 주 5일제는 1주 법정 근로시간을 44시간에서 40시간으로 줄이면서 안착됐다. 김 장관은 주 5일제와 같은 방식으로 주 4.5일제를 도입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공짜야근을 만드는 포괄임금을 금지하고 연차휴가를 활성화하는 등 실근로시간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활용할 계획을 예고해왔다. 김 장관은 지난달 24일 서울 LW컨벤션 센터에서 ‘실 노동시간 단축 로드맵 추진단’ 첫 회의에서도 “실노동시간 단축은 단번에 강제적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 “주 4.5일제, 법제화 안 한다”


양종곤 고용노동전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