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지갑 대신 스마트폰만 들고 다닌다”…‘QR 결제·ATM 환전’ 일상 풍경 됐다는데

북한 대성백화점에서 삼흥전자지갑 앱을 활용해 QR코드를 스캔하는 모습. 조선중앙TV 38노스북한 대성백화점에서 삼흥전자지갑 앱을 활용해 QR코드를 스캔하는 모습. 조선중앙TV 38노스




최근 북한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전자결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중국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QR코드 기반 결제 방식을 북한의 상점과 영화관, 스포츠 경기장, 교통 등 분야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이달 9일(현지시간) 북한의 스마트폰 제품들과 관광객들이 공개한 영상들을 분석한 결과, 평양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자결제 지갑 서비스가 운영 중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노동당이 직접 나서 해당 서비스 도입과 정착을 밀어붙이고 있으며, 최근 개정된 전자결제법을 통해 전자결제를 거부하는 기업에 벌금까지 부과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매체는 전자결제가 확산된 배경으로 주민들의 뿌리 깊은 은행 불신을 꼽았다. 2009년 화폐개혁 실패 이후 북한 주민들은 은행 예금보다 현금 보유를 선호해 왔다.

관련기사



조선무역은행이 2011년 ‘나래 직불카드’를, 중앙은행이 2015년 ‘전성 카드’를 각각 출시했지만 은행 예치금이 필수였던 탓에 큰 반응을 얻지 못했다. 대신 휴대전화 보급이 확대되면서 시장 중심의 새로운 무현금 결제 방식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다는 설명이다.

휴대전화 이용자는 월정액 요금 일부로 150원의 크레딧을 지급받으며, 이를 저축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송금할 수 있다. 주민들은 이 시스템을 시장 거래용 소액 결제 수단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전자결제 앱뿐 아니라 평양 도심에는 새로운 ATM(현금자동입출금기)도 속속 설치되고 있다. NK테크랩이 확보한 화원 ATM 안내문에 따르면, 이 기기는 전성카드·나래카드·삼흥전자지갑 등과 같은 은행 카드 및 스마트폰 앱을 통해 현금 입출금, 송금, 환전 등 다양한 금융 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

외국인 관광객이 북한 태송백화점에 설치된 화원 ATM 앞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 38노스외국인 관광객이 북한 태송백화점에 설치된 화원 ATM 앞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 38노스


해당 ATM으로 외화 입출금도 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100달러 지폐를 부분 환전해 일부는 원화로, 거스름돈은 달러로 받는 기능도 지원한다. 안내서에는 백화점과 주요 호텔을 포함한 15개 설치 장소가 기재돼 있으며, 실제 태성백화점 내 ATM이 작동 중인 모습이 외국인 관광객 영상으로 확인됐다.

일각에서는 노동당이 전자결제를 적극 추진하는 배경에 ‘감시 목적’이 깔려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최근 비공식 시장 활동이 커지며 국가 통제가 약화되고 일부 개인이 부를 축적하자, 이를 다시 국가 통제망 안으로 끌어들이고 외화 흐름을 관리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강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