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돈 별로 안 쓴 것 같은데 통장 '텅텅'인 이유 있었네"…의식주 물가, 1.6배 더 올랐다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뉴스1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뉴스1




전기요금, 아파트 관리비, 식료품 등 서민 생활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가 최근 5년간 전체 물가보다 1.6배 더 빠르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생활 필수 비용이 다른 품목보다 크게 오르면서 체감물가가 더 크게 느껴진다는 분석이다.

16일 한국경제인협회가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에게 의뢰해 진행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에 따르면, 2019~2024년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의 연평균 상승률은 4.6%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CPI) 연평균 상승률(2.8%)보다 1.8%포인트 높았다.



가장 많이 오른 건 주거비였다. 5년 새 전기·가스·연료비가 연평균 7.0% 급등했고, 수도요금과 관리비 등 주거 서비스 물가도 4.3% 뛰었다. 2019년 1㎡당 2245원이던 공동주택 관리비는 올해 2988원으로 33% 늘었다. 국민평형(전용 84㎡) 기준으로는 월 18만8000원대에서 25만원으로 올랐다.

관련기사



‘먹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식료품 물가는 5년간 연평균 5.2%, 음식서비스(외식)는 4.0% 상승했다. 세계 식량가격지수가 2021년 이후 120선을 웃도는 데다 운송비·인건비 등 유통비용이 47.5%→49.2%로 늘어나면서 장바구니 부담이 커졌다. 김 교수는 “식자재비와 배달 수수료 인상으로 외식비도 연 9% 가까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의류 물가 역시 2.9% 오르며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품종·소량생산과 브랜드 중심 소비가 늘어난 데다, 인건비·운송비 부담이 얹히면서 가격이 좀처럼 내려가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기·가스 등 에너지비와 식자재비처럼 생활 기반 비용이 물가 상승을 주도하면서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는 통계보다 훨씬 높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의식주 물가 안정을 위해 AI 기반 생산 자동화, 스마트팜 확대, 공동주택 에너지 절감 시설 도입 등 구조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인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