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의료비 후불제' 경기도 도입 가능성 짚었다

충북도 시행 3년 맞은 의료복지 사업

취약계층에 의료비 무이자·무담보 대출

도의회 김동규 의원, 정책토론회서 공론화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김동규 의원(가운데)이 지난 16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경기도 의료비 후불제 사업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제공 = 경기도의회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김동규 의원(가운데)이 지난 16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경기도 의료비 후불제 사업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제공 = 경기도의회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김동규 의원(안산1)이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의료비 후불제 사업’ 도입 필요성을 주장해 관심을 모은다.



김 의원은 지난 16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경기도 의료비 후불제 사업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의료비 후불제는 의료비 부담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치는 취약계층이 진료부터 받고, 무이자·무담보로 대출받아 3년간 분할 상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현재 충북도에서 3년 째 추진하고 있다. 김 의원은 지난 6월 보건복지위원회 회의에서 해당 사업의 벤치마킹 필요성을 제기하고, 7월에는 충북도 보건정책과를 직접 방문해 사업 전반을 점검한 바 있다.



김 의원은 이를 바탕으로 이번 토론회를 직접 기획하고 좌장도 맡았다.

관련기사



토론회에서는 한찬오 충북도 보건정책과장이 주제발제를 맡았으며, 김덕원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장,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회장, 성현숙 경기도 보건의료정책과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김 의원은 “충북은 약 81만 도민이 사업의 대상이지만, 경기도에 적용된다면 최소 700만 명 이상의 도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의료비 후불제는 경기도민의 의료복지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충북도의 경우, 시행 3년 동안 총 3억 원 정도의 관련 예산이 투입됐다. 인구 규모 등을 감안하면 경기도 도입 시 매년 5억 원 안팎이면 수요를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 의원은 의료비 후불제가 비용대비 체감 복지효과가 뛰어난 정책이라고 소개했다.

안기종 회장 역시 “의료비 후불제 사업이 보완할 점도 있지만, 의료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마지막 퍼즐조각’처럼 느껴졌다”며 “충북에서 이미 많은 시행착오를 거친 만큼 충분히 준비된 정책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토론회를 마치면서 “관련 조례 제정을 신속히 추진하겠다”며 “사업에 대한 의문이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수원=손대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