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취업도 못했는데, 왜 이렇게 돈만 쓰는 건지"…취준생 부담 늘었다

클립아트코리아클립아트코리아




올해 취업 준비 비용이 작년보다 늘었다는 청년 구직자가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월평균 28만 원을 소비하는 가운데 어학·자격증 취득과 이를 위한 카페나 스터디룸 공간 이용에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채용 플랫폼 캐치에 따르면 구직자 1001명을 대상으로 '취업 준비 비용'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작년보다 늘었다'는 응답이 43%였다. '작년과 비슷하다'는 응답이 46%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한 반면 '줄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11%에 그쳤다.



응답자들이 지출하는 월평균 취업 준비 비용은 약 28만 원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는 '10~30만 원(44%)'이 가장 많았고, '10만 원 미만(23%)', '30~50만 원(22%)'이 뒤를 이었다. '50~100만 원(8%)', '100만 원 이상(3%)'이라는 응답도 일부 있었다.

관련기사



취준생이 느끼는 가장 큰 비용 부담은 '어학·자격증 취득비(29%)'였다. 다음으로는 △카페·스터디룸 등 공간 이용료(22%) △학원·강의 수강료(22%) △면접비(10%) △학습 물품비(8%) △취업 컨설팅(7%) △대외활동·동아리비(1%) 순으로 조사됐다.

비용 마련 방법(복수 응답)으로는 '모아둔 개인 자금(63%)'이 가장 많았다. '가족의 지원(47%)'과 '아르바이트·인턴 수입(45%)'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 '정부 보조금(18%)'이나 '장학금(4%)', '대출(3%)'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본부장은 "취업 비용 증가는 단순히 물가 상승 때문이 아니라 청년층이 체감하는 고용 불안이 함께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