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찰청이 캄보디아 사태와 관련해 재외국민 실종 신고를 전담하는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20일 서울경찰청은 이번 캄보디아 사태와 관련해 광역수사단에 ‘재외국민 실종·납치·감금 집중 TF팀’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TF팀은 형사기동대장을 팀장으로 하고 각 수사대 1개 팀 씩, 사이버수사대 소속 2개 팀 등 총 44명 규모로 운영된다. 박정보 서울경찰청장은 “향후 재외국민에 대한 실종·납치·감금 범죄와 관련한 신고는 TF에서 담당할 것”이라며 “일선경찰서에 신고가 접수된다면 경찰서는 기초적인 판단을 하고 범죄 혐의점이 있다 하면 TF에 사건을 넘길 방침”이라고 밝혔다.
TF는 캄보디아 등 외국에서 발생하는 납치 등 범죄 신고에 대해 수사에 나설 계획이며, 보이스피싱이나 리딩방, 마약 등 배후 범죄가 확인된다면 전담 수사 기능에서 이를 이어받아 들여다 볼 방침이다.
또한 불법 구인·구직 게시글에 대해서도 대응에 나선다. 유인광고와 관련해서도 그간 게시글을 삭제 및 차단하는 정도의 조처가 이뤄졌다면 앞으로는 게시자에 대해서도 계좌추적, IP추적 등 적극적으로 수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사이트 운영자들에게도 불법 광고와 관련한 정보를 사전 제공해 자체적으로 삭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만약 범죄 관련 광고임을 인지하고도 계속 게시글을 올릴 경우 운영자를 공범 및 방조범으로 처벌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서울경찰청에 총 36건의 캄보디아와 관련한 실종·납치·억류 신고가 접수됐으며, 이 중 14건은 범죄 혐의가 없는 것으로 확인돼 종결됐다. 경찰은 나머지 22건에 대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캄보디아 국경 인근 베트남에서 숨진 채 발견된 30대 여성과 관련해 경찰은 사건을 광역수사단으로 가져와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찰은 캄보디아 내 최대 범죄 단지인 태자단지의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 그룹이 국내에서도 활동한 정황을 포착, 관련 첩보를 입수해 분석 중에 있다. 경찰은 범죄 혐의점이 포착될 경우 내사나 수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앞서 캄보디아에서 송환된 ‘리딩방 사기’ 연루 피의자에 대해 서울 서대문경찰서가 신청한 구속영장이 검찰 단계에서 불청구된 것과 관련해 경찰은 검토 후 조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서부지검은 서대문경찰서가 사기 및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혐의로 남성 A 씨에 대해 신청한 구속영장을 청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A 씨는 캄보디아 내 투자 리딩방(주식·코인 투자 유도방) 사기 조직에 자신의 통장 등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지난 18일 캄보디아 현지에서 송환돼 귀국했으며, 해당 사건은 진정이 접수된 서대문경찰서가 수사 중이다.
경찰은 A 씨가 단순 가담자를 넘어 조직 자금 관리에 관여한 것으로 보고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나, 검찰은 범행 이후 정황 등을 고려해 구속 사유가 충분치 않다고 판단했다. 서부지검 관계자는 “출국 경위와 일부 계좌 사용 경위, 감금된 이후 캄보디아 대사관에 도움을 요청한 점, 현지 경찰에 신고해 구조된 뒤 유치장에 수감됐다가 송환된 점 등 범행 이후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며 “이 같은 이유로 구속영장을 청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