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중독 아니다' 대통령 발언에…게임협회 "인식 전환 계기로"

[9개 게임 협회·단체 공동성명]

"소모적인 논쟁에 종지부

업계서도 문제 회피 않고

내·외부서 해결 노력할것"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국내 게임사 크래프톤의 게임·문화 플랫폼 서울 성동구 '펍지 성수'에서 AI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를 체험하고 있다. 옆은 김형준 인조이스튜디오 대표.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국내 게임사 크래프톤의 게임·문화 플랫폼 서울 성동구 '펍지 성수'에서 AI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를 체험하고 있다. 옆은 김형준 인조이스튜디오 대표.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게임을 중독 대상으로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힌 데 대해 국내 게임 업계가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한국게임산업협회, 한국모바일게임협회, 한국인공지능게임협회, 한국게임이용자협회, 한국e스포츠협회, 한국게임개발자협회, 한국인디게임협회, 게임문화재단, 게임인재단 등 유관 단체는 20일 공동 성명을 통해 “대통령 발언은 그간의 소모적인 논쟁에 종지부를 찍고 게임을 우리 사회의 주요 문화산업 일원으로 바라보는 인식 전환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이달 15일 서울 성수동에서 진행된 ‘K게임 현장간담회’ 모두발언 자리에서 주요 게임업체 대표들을 비롯한 업계 관계자들과 만나 “게임은 중독 물질이 아니다”며 “정책 방향도 바꾸고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는 게 정부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게임단체들은 “문제가 있다고 장독을 없애서는 안 된다는 대통령의 비유처럼 우리 게임 산업계가 내외부의 문제들을 회피하지 않고 지혜롭게 해결해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입장도 내놓았다. 아울러 이 대통령이 게임산업뿐만 아니라 게임 개발에 참여하는 청년, 게임을 소비하는 이용자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한 데 대해서도 “게임을 산업 진흥이라는 한쪽 측면에서만 바라보지 않는, 건강하고 균형 잡힌 관점이어서 더욱 뜻깊었다”고 전했다.


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