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패밀리오피스 서비스를 본격화한 삼성증권은 ‘넥스트 최고경영자(CEO) 과정’을 운영하며 2·3세 오너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2004년부터 기업공개(IPO) 준비 고객 모임인 ‘진우회’를 통해 자산가들의 성장을 도왔고 이 중 일부는 패밀리오피스 고객으로 전환됐다. 한투증권은 매년 열 개 가문만을 선정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20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금융자산 300억 원 이상을 보유한 초고액자산가들이 ‘가문 단위’로 움직이며 자본시장의 새로운 큰손으로 부상함에 따라 증권사들은 고객 유치를 위해 다양한 차별점을 앞세우고 있다.
패밀리오피스는 수천억 원에서 많게는 조 단위 자산을 운용하며 기관투자가 못지않은 규모를 갖췄지만 의사 결정은 훨씬 빠르고 투자 폭도 넓다. 은행이 취급하지 못하는 채권·사모 상품 등을 증권사를 통해 운용하는 사례가 늘면서 증권사들은 패밀리오피스를 미래 성장 축으로 삼고 있다. 이전 패밀리오피스 고객들이 하나의 증권사와 오랜 기간 거래했다면 최근에는 여러 곳을 병행하는 추세다. 이 과정에서 지인의 소개로 증권사를 옮기거나 가문 간 폐쇄형 커뮤니티를 통해 자문사를 공유하며 관리 증권사를 바꾸는 경우도 적지 않다.
NH투자증권은 기업금융(IB) 기반의 지주사 전환·승계·세무 컨설팅을 통합 제공하며 신한·하나·KB증권은 은행 네트워크를 활용해 신탁·유동성·비상장 투자 서비스를 강화하고 나섰다. 신영증권은 미국·유럽식 패밀리오피스 모델을 추구하며 가업 승계에 특화돼 있다.
신흥 증권사들의 시장 진입도 활발하다. IBK투자증권은 최근 ‘패밀리오피스 금융종합컨설팅팀’ 설립을 추진하며 이사급 인력을 충원 중이다. 모회사인 IBK기업은행의 중소·중견기업 고객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초기 시장 진입이 유리하다는 평가다.
현대차증권도 패밀리오피스 사업 출범을 준비하고 있다. 앞서 미국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 법무법인 태평양 가업승계센터, 다솔세무법인 등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투자·법률·세무를 아우르는 종합자산솔루션 구축에 나섰다. 현대차그룹 협력 업체만 300여 곳에 달해 기업 오너 중심형 서비스 확장이 유력하다는 분석이다.
한 대기업 전략 담당 임원은 “대기업 30여 개 오너 가문 자녀들이 참여하는 비공개 커뮤니티가 있다”면서 “이곳의 회원들은 해외 유학지나 국내외 투자 현장에서 공동 투자와 정보 교류를 이어가며 독자적인 투자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증권사들은 드러나기를 꺼리는 부자들의 특성상 비공개로 운영되는 모임이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접점을 넓혀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베이비붐 세대의 대규모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향후 5년간 고액자산가의 세대교체가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며 “자산관리(WM)와 IB의 경계를 허무는 통합형 패밀리오피스 경쟁이 본격화될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