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속보]김용범·김정관, 美러트닉과 협상 시작

"韓 입장, 美 이해하면 좋은 결과 있을 것"

"우리가 방미하겠다고 해 성사…러트닉만 만나고

애틀란타 경유 귀국…백악관 방문 안 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2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상무부로 들어가고 있다. 이태규 특파원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2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상무부로 들어가고 있다. 이태규 특파원




미국을 방문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2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협상에 돌입했다.



김 실장은 이날 상무부에 들어가기 전 기자들과 만나 “잘 하고 올것”이라며 “한 시간 반 정도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김 실장은 덜레스국제공항으로 입국하며 협상 상황이 "꽤 마지막까지 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중요한 쟁점에 대해 각자 입장을 이야기하다 보면 기존에 잠정적으로 (합의)했던 부분까지 연결이 돼 후퇴할 수도 있어 조심스럽다"면서도 이 같이 말했다.



김 실장은 "한 두가지 주제에 대해 아직 양국 입장 차이가 좀 많아서, 지난번 회의 때도 저녁도 같이 하고 4시간 이상 이야기 한 셈인데, 그러면서 미국이 완강한 부분에 대해 확인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본국에 가서 '이것은 한 번 더 이야기를 해야 된다'고 하고 다른 부처랑도 이야기하고 다시 오겠다고 미 측에 시사를 하고 왔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김 실장은 "많은 쟁점에 대한 이견은 어느 정도 조율돼 있고 우리가 이번에 온 추가적인 주제에 대해 우리 입장을 미국이 좀 더 진지하게 이해를 해 준다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종합하면, 한 두가지 첨예한 쟁점에 대해 우리의 입장을 들고 미국을 방문했으며, 미국이 이를 이해한다면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 실장은 이번 방문은 우리가 미국을 찾겠다고 해서 이뤄졌고 이날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만 만나고 애틀란타를 통해 귀국한다고 전했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만날 가능성도 없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구체적인 협상 내용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며 "우리나라가 감내할 수 있는 범위, 외환시장에 줄충격이 커서는 안 된다는 내용 등을 강조해왔다"며 "대전제는 관세협상도 중요하고 한미 간 서로 투자하는 것도 중요한데, 대한민국 경제에 충격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것이고 이를 미국도 이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지금 남아있는 쟁점들을 물론 화상으로도 하지만 직접 보고 말하는 게 훨씬 효과적일 것 같아 직접 만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방미하지 않았다.

러트닉 2시간 만난 김용범 “일부 진전… 끝날 때까지 끝난 거 아냐”


워싱턴=이태규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