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DL건설, 숏크리트 공법 건설신기술 개발

리바운드율 49.6% 감소 통해 생산비·CO₂ 배출 동반 절감

현장 적용 확대하여 안전·친환경 건설기술 선도

PET 섬유복합체 혼합 과정 및 숏크리트 시공 모습. 사진 제공=DL건설PET 섬유복합체 혼합 과정 및 숏크리트 시공 모습. 사진 제공=DL건설




DL건설이 헬릭스(Helix) 구조의 PET 섬유복합체와 진동 분산시스템을 활용한 터널용 숏크리트에 대한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숏크리트란 콘크리트를 압축공기와 함께 분사하여 시공하는 방식으로 터널·지하구조물 등 구조체 보강이나 표면 피복에 주로 사용된다.



이 신기술은 PET 섬유복합체를 진동 분산시스템을 통해 정량 투입 후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일반 섬유복합체는 비중이 낮아 콘크리트와 혼합할 때 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한 PET 섬유복합체는 비중이 높아 물에 뜨지 않는다. 콘크리트와 잘 혼합되어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다른 섬유복합체보다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바운드율을 약 49.6%까지 낮출 수 있고 콘크리트 생산 비용을 18.6% 절감할 수 있다.

관련기사



토양 및 지하수 오염도 줄어들고 폐기물 처리비 절감 및 폐 PET를 이용하여 재활용도 가능하다. CO₂ 배출량 감소로 탄소중립 정책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는 등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기존의 강섬유는 수분에 의한 부식이 발생하여 습기환경에 보관이 어려우며 해수구간 시공 시 내구성 확보가 어려웠다. 하지만 이번 신기술은 수분에 따른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수분이 많은 해수구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며 내구성 확보도 가능하다.

DL건설은 인덕원-동탄10공구와 옥정-포천2공구에 해당 기술을 적용해 시공 예정이다. DL건설 관계자는 “품질과 경제성은 물론 안전성과 친환경성까지 확보한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친환경 신기술 개발을 통해 ESG 경영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건설현장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