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배달 주문에 공기밥만 6개…쌀값 급등에 식당가 '곡소리'

쌀 20㎏ 6만 5286원, 1년 새 28%↑

자영업자 “김밥값·공기밥 다 올려야 하나”

연합뉴스연합뉴스




서울 영등포구에서 10년째 백반집을 운영하는 50대 자영업자 A 씨는 요즘 장부를 볼 때마다 한숨이 절로 나온다. 한 달에만 100㎏ 넘게 쓰는 쌀값이 눈에 띄게 뛰었기 때문이다. A 씨는 “예전엔 4만 원대였던 20㎏ 쌀 한 포대가 이제 6만 원이 훌쩍 넘는다”며 “공기밥 1000원으론 도저히 감당이 안 돼 가격을 올릴지 고민”이라고 털어놨다.



2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달 28일 기준 쌀 20㎏ 소매가격은 6만 5286원으로, 1년 전(5만 992원)보다 약 28% 올랐다. 한 달 전(6만 2478원)과 비교해도 4.5% 높은 수준이다. 쌀값이 최근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여전히 고점에 머물러 있는 셈이다.

관련기사



시장에서는 지난해 정부의 시장격리 조치가 올해 가격 상승의 기저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한다. 여기에 가을장마로 햅쌀 출하가 늦어지고, 일부 지역에서는 벼 ‘깨씨무늬병’이 확산되면서 공급 불안이 겹쳤다. 이 같은 요인들이 맞물리며 쌀값이 장기적으로 안정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문제는 소비자 부담이다. 특히 식자재를 대량으로 쓰는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다. 자영업자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예전엔 쌀값이 4만 원대라 걱정이 없었는데 최근 8만~9만 원까지 뛰어 특등급은 꿈도 못 꾼다”, “김밥 한 줄 가격을 올리고 싶어 미칠 지경”, “공기밥 가격을 1000원에서 1500원으로 인상해야 할지 고민” 등의 하소연이 잇따르고 있다.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공기밥 추가 주문이 급증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한 업주는 “1인분만 주문해놓고 공기밥을 5~6개씩 추가하는 손님도 있다”며 “쌀 소비는 늘어나는데 마진은 줄어드는 악순환”이라고 토로했다.

반면 산지 농민들은 “쌀값이 올랐다지만 체감은 다르다”고 말한다. 전남 여수에서 벼농사를 짓는 한 농민은 “비료값, 인건비, 기계 유지비가 다 올라 생산비가 훨씬 크다”며 “수매가 늦어지면 창고 임차료까지 부담해야 한다”고 하소연했다.


신서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