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2025한국건축문화대상] 지형과 식생을 살펴 자연과 상생하는 건축물

[건축물 공공부문 본상] 대구간송미술관

자연이 먼저, 건축은 그 틈에 조용히 스며드는것

우리 것을 지켜낸 간송 전형필 선생의 뜻을 기념하며

팔공산 자락을 바라보도록 배치, 휴일에도 열린 공간

내부 마당에서 바라본 대구 간송미술관. 지형에 맞춰 건물의 공간과 자연이 어우러진 모습이다. 사진 제공=가아건축사사무소·사진작가 남궁선내부 마당에서 바라본 대구 간송미술관. 지형에 맞춰 건물의 공간과 자연이 어우러진 모습이다. 사진 제공=가아건축사사무소·사진작가 남궁선





대구 수성구 대구대공원 안에 지어진 새로운 간송미술관은 온 생애를 바쳐 우리의 것을 지켜낸 간송 전형필 선생의 뜻에서 시작했다. 간송 전형필 선생의 삶과 그가 지켜낸 많은 문화재가 그러하듯, 이를 담는 건물인 미술관도 우선 땅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고고학적 노력을 통해 지형과 식생을 살펴 건축이 뿌리내리게 했다. 필요한 만큼의 땅을 정하고 고른 다음 알맞은 크기의 터와 사이 공간을 두어 주변의 자연과 끊임없이 소통하는 건축,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마침내 자연의 일부가 되는 곳이 바로 간송미술관이다. 현재를 넘어 후대에도 우리 것을 사랑하는 정신이 이어지도록 돌멩이 한 개, 나무 한 그루 쉽게 모두 소중히 살펴 지어졌다.

관련기사



간송미술관의 여러 작은 터와 자연스러운 계단식 기단은 공간들이 다양하게 중첩되며 주변과 어우러진다. 지형에 따라 여러 개로 나뉜 터에 자리 잡은 작은 집들의 집합, 그 사이의 공간, 그리고 자연이 간송미술관에 녹아 있는 정신이다.

미술관은 대구의 정신인 팔공산 자락을 바라보도록 배치됐다. 미술관의 외부공간은 공휴일이나 폐관 이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열린 미술관 콘셉트로 시민들이 언제나 와서 기댈 수 있는 공간이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