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제가 대기업 '1순위' 스카우트 대상자라고요?"…전화 불난 '여기' 출신 퇴직공직자들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사진은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공무원들이 점심식사를 하러 가는 모습. 뉴스1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사진은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공무원들이 점심식사를 하러 가는 모습. 뉴스1




국방부·경찰청 등 사정기관 출신 인사들이 대기업 ‘1순위’ 스카우트 대상이 되고 있다. 방산·보안·금융 등 분야별 대기업들이 이들 퇴직 공직자를 ‘자문’이나 ‘고문’으로 적극 영입하면서, 퇴직 후에도 몸값이 치솟는 것으로 밝혀졌다.



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인사혁신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1월부터 2025년 9월까지 취업심사를 신청한 퇴직공직자 3634명 중 3297명(90.7%)이 영리사기업·협회·공공기관 등에 취업 승인을 받았다.

그중 대기업집단(65개 그룹)으로 간 인원은 632명으로, 한화그룹이 73명(11.6%)으로 1위, 이어 삼성(9.3%), 현대차(7.6%) 순이었다.

퇴직공직자 중에서는 국방부(12.9%)와 경찰청(11.6%) 출신이 가장 많았다.



한화그룹의 경우 국방부 출신 28명이 방산 계열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오션·한화시스템)로 자리를 옮겼다.

관련기사



삼성그룹은 경찰청 출신이 12명으로, 삼성전자서비스·삼성전자·에스원 등 보안·법무 관련 직군에 포진했다.

현대차그룹은 국방부(11명)와 경찰청(5명) 출신이 두드러졌으며, 현대로템·현대건설 등 주요 계열사에서 고문·전문위원 형태로 활동 중이다.

퇴직공직자 313명은 같은 기간 법무법인에 새 둥지를 틀었다. 법무법인 YK가 79명(25.2%)으로 가장 많았고, 김앤장(50명), 세종(31명), 광장(24명), 대륙아주(23명), 율촌(22명), 태평양(21명) 등이 뒤를 이었다.

법조계에서는 “공직 경력자 네트워크를 통한 자문 수요가 꾸준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퇴직공직자는 공직자윤리법상 퇴직 전 5년간 근무한 부서와 관련 있는 기관에는 퇴직 후 3년간 취업할 수 없다. 그러나 자문·고문직 등 간접 형태로 재취업하는 사례가 늘면서 ‘관피아’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전문성 활용과 규제 사각지대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만큼, 심사제도 강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대형주 폭락, 저가 매수 기회"…삼전·하닉·두빌 '줍줍'[주식 초고수는 지금]

[속보] SK하닉 7%, 삼전 5% '곤두박질'…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

국내 최고가株 ‘효성중공업’ 300만 원 간다…증권사, 목표가 줄상향 [줍줍리포트]


이인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