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전국에서 가장 먼저 제안하고 ‘1호 특구’를 장담했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서 보류돼면서 울산시는 예상 못한 ‘보류’ 결정에 당혹해 하고 있다. 관련 기업들은 ‘왜’라는 의문 부호만 보내고 있다. 상공계와 울산시의회는 ‘도대체 이해할 수 없는 결정’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9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전국 7개 신청 지역 중 부산 강서구, 경기 의왕, 전남, 제주 등 4곳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했다고 5일 발표했다. 반면 울산 미포산단은 경북 포항, 충남 서산과 함께 보류됐다.
시는 발표 전까지 탈락 가능성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반응이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울산시가 중심이 돼 정부에 건의해 추진한 사안이다. 사업 추진도 울산시가 옛 산업통상자원부와 보조를 맞춰가며 주도해 왔다.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먼저 추진전략을 마련했고, SK멀티유틸리티(MU)-SK·아마존(AWS) AI데이터센터로 이어지는 롤모델까지 구축했다.
2027년 AI데이터센터가 완공되면 이곳에도 직접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었다. 연료비 연동제와 탄소배출권 연계를 통한 추가 절감도 가능했지만, 이번 보류에 따라 전력 수급 전략을 전면 수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울산시와 지역 상공계에서는 이번 결정이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부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선정된 4곳 모두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반 모델인 반면 탈락한 울산과 서산은 LNG·LPG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기반이다. 하지만 울산이 제시한 LNG 기반 모델은 ‘즉시 실행 가능’이 최대 강점이었다. SK·아마존과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인 100㎿급 AI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고, 향후 1GW급 AI 데이터센터 추가 유치도 계획 중이었다.
울산상공회의소는 “법적으로 재생에너지가 아니면 보류된다는 조항은 전혀 없다. 절차적 적합성도 완벽히 갖췄다”고 반발했다.
울산시의회도 “‘LNG가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이며 경제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원’(2025 APEC 경주 선언문 중)이라는 국제적 흐름과도 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는 정부 조직개편 초기의 ‘재생에너지 우선’ 정책 기조가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산업부 일부 기능이 기후환경부로 넘어가면서 친환경 에너지원 선호가 강해진 상황에서, LNG는 아무리 현실적이어도 ‘과도기 에너지원’으로 분류됐다는 것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시가 가장 먼저 분산에너지 길을 열고 가장 앞서 롤모델까지 만들었는데 이렇게 될 줄 몰랐다”며 “올해 말까지 다시 도전해 특구 지정을 받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