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70세’ 삼천리…에너지 인프라 확대로 백년 기업 비상

삼천리 광명열병합발전소 전경. 사진 제공=삼천리삼천리 광명열병합발전소 전경. 사진 제공=삼천리




올 해 창립 70주년을 맞은 삼천리가 미래 에너지 산업의 변화에 대응해 신재생에너지와 분산형 전원 등으로 사업을 넓히며 ‘백년 기업’을 향해 도약한다. 연료전지 등 새로운 성장축을 토대로 미래 에너지 종합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다.

삼천리는 1982년 도시가스 사업에 진출해 1987년 국내 최초로 액화천연가스(LNG)를 공급하면서 한국 도시가스 산업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현재 경기도 13개시와 인천광역시 5개구 등 약 335만 세대에 연간 38억㎥ 이상의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산업용 수요 비중이 높아 계절적 변동성에 덜 민감한 안정적인 판매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산업단지 개발과 신규 택지 조성에 맞춰 공급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가고 있다.

관련기사



삼천리는 도시가스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 에너지 사업에 더해 에너지 인프라로 사업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광명열병합발전소는 광명 역세권 및 소하·신촌지구 등 2만여 세대에 열과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2024년에는 시흥클린에너지센터를 통해 바이오가스를 정제한 바이오메탄 도시가스 배관망에 혼입해 매년 약 1만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5000톤의 화석연료 수입을 대체하는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연료전지 발전도 삼천리가 낙점한 미래 에너지 사업 중 하나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 시스템으로 화력발전에 비해 온실가스와 대기오염 물질 배출이 현저히 적고 소음과 전자파 영향이 거의 없어 도심에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삼천리는 경기도 화성시의 경기그린에너지(58.8㎿), 인천광역시 동구의 인천연료전지(39.6㎿) 등 다양한 사업장을 통해 지역에 전기와 열을 공급하며 안정적인 전력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삼천리는 이들 사업을 체계적인 안전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 주요 시설에 대한 정기 점검 및 안전진단을 비롯해 명절, 동절기 등 가스 사용량이 늘어나는 시기에는 특별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도시가스 업계 최초로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배관망 시스템’을 전면 도입해 지하 배관의 압력과 유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해 정밀하고 선제적인 안전관리 체계를 확립했다.

/심기문 기자 door@sedaily.com


심기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