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야드 드라이버 샷이나 핀에 딱 붙이는 컴퓨터 아이언은 4차원의 벽 같지만 퍼트는 왠지 만만해 보인다. 그래서 대회 중계에 짧은 퍼트 실수라도 나오면 우리는 이렇게 반응한다. ‘에이, 선수가 저걸 빼네’ ‘저건 눈감고도 넣어야지’.
하지만 골린이와 백돌이를 넘어 수준이 조금씩 높아질수록 우리는 느낀다. ‘아, 제일 어려운 게 퍼트구나.’ 아마추어 고수로 유명한 ‘코리안 특급’ 박찬호도 “매 라운드가 도전이다. 퍼트가 늘 마음대로 안 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실전에서 좋은 퍼트의 기본은 그린 잘 읽기다. 김규태 프로가 ‘투어 프로처럼 그린 읽기’ 비법을 알려준다. 그는 올해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최고의 발견’ 옥태훈의 퍼트 코치다. 옥태훈 외에 제네시스 챔피언십 우승자 이정환과 김비오, 백석현, 그리고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의 유현조, 노승희, 김수지, 임희정 등도 가르치는 ‘대세 지도자’다. 그린 리딩이 주제였지만 김규태는 퍼트 라인 확인, 올바른 그립, 스트로크 요령에 연습 꿀팁까지 아낌없이 들려줬다.
내 눈을 믿지 마라
훅 라인이라고 믿고 쳤는데 볼이 완전히 반대로 가 당황한 적도 있을 거다. 착시에 속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린 주변에 언덕이 많고 큰 나무들이 보이면 시각적으로 착각할 확률이 높다. 그래서 경사는 눈이 아니라 몸으로 느끼는 게 정확하다는 이론도 있다. 볼과 홀 사이 중간 지점에 다리를 벌리고 서서 양발을 번갈아 밟아보면서 몸으로 경사를 느끼는 건 좋은 방법이다.
마크한 곳에 볼을 놓는 자세에도 신경 써보자. 쪼그려 앉을 때 볼에 너무 딱 붙는 건 좋지 않다. 몸이 높아지기 때문에 퍼트 라인과 눈을 맞추려면 고개를 상하로 움직여야 하고 이 과정에서 착시가 개입하기 십상이다. 쪼그려 앉은 상태로 팔을 쭉 뻗어야만 볼 마커에 닿을 정도로 충분한 간격을 지켜준다. 그래야 지면과 가까운 낮은 위치에서 눈동자만 위아래로 움직여 퍼트 라인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라인 확인 때 퍼터 드는 법
투어 선수들을 보면 퍼트 라인을 확인할 때 퍼터를 들어 가늠자처럼 활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크게 두 유형이 있다. 정면으로 뻗어 퍼터가 지면과 평행하게 만드는 스타일(바로 아래 사진)과 퍼터를 늘어뜨려 수직으로 세우는 스타일(그 아래 사진)이다.
둘 다 퍼터 샤프트를 이용해 베이스 라인(홀 한가운데부터 볼에 이르는 직선)을 찾으려는 동작인데 수직으로 세우는 건 롱 퍼트 때 유용한 동작이다. 보다 멀리 있는 타깃을 확인하는 데 유리하다.
[서울경제 골프먼슬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