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돌봄 노동자 등이 가입한 학교비정규직 노조가 20일부터 릴레이 총파업을 벌이기로 한 가운데 교육당국이 종합상황실을 설치하는 등 발빠른 대응에 나선다. 교육당국은 학생 대상 대체식 제공과 돌봄정상 운영을 위한 각종 지원책을 마련해 현장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은 이달 20일 예정된 학교비정규직 파업 상황 대응을 위한 상황실을 설치했다고 19일 밝혔다. 교육자치안전정책관이 종합상황실장을, 교육자치협력과장이 대응총괄을 각각 맡으며 부교육감이 주축이 돼 각 지역별 시도교육청상황반을 운영한다.
이번에 예정된 파업은 교육부와 학교비정규직 노조간의 임금 관련 입장 차 때문이다.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은 올 8월부터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와 2025년 집단임금 교섭을 진행했으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이에 따라 연대회의는 이달 20∼21일, 다음 달 4∼5일에 지역별로 릴레이 총파업을 벌이겠다고 예고했다. 우선 이달 20일에는 서울, 인천, 강원, 세종, 충북 노동자들이 파업에 나서며 21일에는 광주, 전남, 전북, 제주 노동자들이 파업한다. 다음 달 4일에는 경기, 대전, 충남 노동자들이 파업에 돌입하며 5일에는 경남, 경북, 대구, 부산, 울산 노동자들이 파업을 벌인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으로 구성된 연대회의에는 올 4월 기준으로 교육공무직원 약 9만4000명이 가입해 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파업 관련 긴급 사안 발생에 적시 대응하기로 했다. 가장 우려가 큰 급식의 경우 학교별로 식단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거나 우유나 빵과 같은 대체식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돌봄은 대체 프로그램 제공 등을 통해 당일 돌봄이 정상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특수학교는 학교별 대책을 수립하고 단축수업 등 탄력적 교육활동을 지원하기로 했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노동조합의 단체행동권을 존중하나 학생들의 교육활동과 건강을 보호하고 학부모님들의 불편이 없도록 노사협의를 통해 합리적인 합의점을 조속히 찾기를 기대한다”며 “안정적인 학교 운영에 만전을 기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