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KB금융지주 회장에 강정원씨 내정] 업계에 미칠 파장은

금융권 M&A주도권 경쟁 본격화 할듯

KB금융지주가 새 선장의 인선을 마무리함에 따라 금융권에도 후폭풍이 몰아칠 것으로 보인다. KB금융이 황영기 전 KB금융 회장의 사퇴로 주춤했던 인수합병(M&A) 작업에 적극 나서면서 다른 은행들도 주도권 잡기 경쟁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강정원 행장은 회장 대행의 신분으로 M&A와 같은 큰 결정을 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제는 KB금융호(號)의 회장이 된 만큼 은행권 지각변동의 핵심인 M&A 대전에서 밀릴 경우 경영자로서 능력을 의심 받을 수밖에 없는 처지다. 당장 관심사는 외환은행이다. 누가 인수하느냐에 따라 내년 은행권 판도가 확 달라질 수 있다. 벌써부터 하나금융ㆍ산은지주 등 인수 경쟁자들이 바쁘고 움직이고 있다. 김승유 하나금융 회장은 M&A와 관련해 "모든 가능성은 항상 열려 있는 것이며 거기에는 외환은행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가 산은지주에 대해 외환은행 인수에 신경 쓰지 말 것을 당부했지만 산은지주는 국내 수신기반 확보를 위해 외환은행 인수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KB금융으로서는 외환은행 인수에 실패하게 되면 자산 규모 면에서도 '리딩뱅크' 자리를 내놓아야 하는 상황이다. 강 행장은 3년 전 외환은행 인수 직전까지 갔다가 고배를 마신 경험이 있다. 지금 상황은 그때보다 나아졌다. 유상증자를 통해 1조원을 확보했고 보유자사주만 팔아도 4조원의 현금을 손에 쥘 수 있다. 증권과 보험 등 비은행 부문을 인수해 금융지주회사로서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푸르덴셜증권 등이 KB투자증권과 합쳐 규모를 늘리면 비은행 부문에 경쟁력이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