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홍영표 신임 환노위원장 "정부 年 10조 투입해 공공일자리 50만개 창출해야"

'동일노동·동일임금,' 원칙 지켜지면 파견법 반대 안 해

가습기 국정조사, 정부 책임 철저히 따질 것

실업급여 인상해 구조조정 실업대책 우선 마련해야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20대 국회의 전반기 환경노동위원장을 맡게 된 홍영표(사진) 의원은 28일 “정부가 연간 10조원 정도의 예산을 투입해 공공 일자리 50만개를 창출하면 일자리 부족 사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홍영표 위원장은 28일 서울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경찰·소방공무원 등의 생명·안전 분야 등은 일자리 수요가 충분하다. 10조원이면 연봉 2,000만원의 일자리 50만개를 만들어낼 수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으로는 신산업 발굴과 내수활성화를 위한 분배구조 개선 등을 통해 근본적인 경제체질을 바꿔야 갈수록 청년 실업률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과거 대우그룹 노동조합협의회 사무처장과 한국노동운동연구소장 등을 지낸 홍영표 위원장은 당내에서 대표적인 노동 전문가로 분류된다.


홍영표 위원장은 박근혜 정부의 핵심 과제임에도 좀처럼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는 노동개혁에 대해서는 두 가지 전제조건이 갖춰지면 협조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관련기사



그는 “파견법을 통해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여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면 그에 반대할 이유는 없다”면서도 “최저임금 인상이 이뤄지고 동일노동·동일임금이라는 대원칙이 지켜져야 파견법에 동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노동시장이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로 양분된 현재 노동시장하에서 파견법이 도입되면 저임금 근로자의 양산을 막을 길이 없다는 것이다.

가습기 살균제 국정조사와 관련해서는 “정부가 그동안 왜 이렇게 살균제 피해 사건을 무능하게 방치해왔는지에 대한 책임을 규명하는 것은 물론 피해자를 위한 보상도 충분히 이뤄질 수 있도록 국회 특별위원회에서 논의하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여야 3당은 지난 27일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국정조사를 위한 특위를 구성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홍영표 위원장은 산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기업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내년 말까지 약 6만명의 실업자가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며 “실업급여를 대폭 인상해 확실한 실업대책을 먼저 세운 후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돌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