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지하도상가 공기질 관리 강화… 자동측정기 확충

서울 지하도상가 하루 60만명 통행

공기청정기 필터 교체주기도 단축

서울지하철 강남역 지하도상가 전경. 사진 제공=서울시서울지하철 강남역 지하도상가 전경. 사진 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올해 10억 원을 투입해 공공 지하도상가의 실내 공기질을 집중 관리한다고 4일 밝혔다.

관련기사



우선 공공 지하도상가(25개소)의 공기질 자동측정 지점을 100개소로 늘리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서울시설공단과 실내 공기질을 공동으로 감시한다. 또 일부 노후화된 공기조화설비의 송풍기·필터·가습장치를 고효율 장치로 교체해 환기 성능을 향상시킨다.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의류상가(영등포로터리, 고속터미널, 종각, 종로5가 등)에는 공기청정기 헤파필터 교체주기를 단축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총면적 15만 6934㎡에 달하는 공공 지하도상가의 공기질 개선으로 상인·이용객의 건강을 보호하는 동시에 기습 폭우와 폭염에 긴급하게 대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서울시 공공 지하도상가는 전체 25개소에 2788개 점포가 들어서있다. 하루 60만명이 통행하고 있으며 상인과 관리직원 약 2700명이 하루 평균 10시간 이상 체류하고 있다.

하동준 대기정책과장은 “자동측정기 설치 확대 등 실시간으로 관리가 가능해진 만큼 촘촘한 모니터링으로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 조성에 힘쓰겠다”며 “지하공간의 공기질 개선을 위해 서울시설공단과도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