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튀르키예 대지진은 예고편? "이스탄불에 '파괴적 지진' 우려"

강진 타격을 받은 튀르키예 하타이주의 모습이다. 연합뉴스 캡처강진 타격을 받은 튀르키예 하타이주의 모습이다. 연합뉴스 캡처




튀르키예 남동부를 강타한 지진에 이어 튀르키예 최대 도시 이스탄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문가 전망이 나왔다.

17일(현지시간) 튀르키예 일간 휘리예트에 따르면, 최근 현지 지진학자들은 아나톨리아와 유라시아 지각판이 합류하는 지점인, 북아나톨리아 단층 지역에서 15~20㎞ 남쪽에 위치한 이스탄불에도 ‘파괴적’인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학자들은 이번 지진이 “이스탄불에서 일어날 지진에 앞선 ‘리허설’일 수 있다”면서 파괴력이나 사회경제적 피해의 측면에서 이스탄불의 잠재적 지진 위험이 압도적으로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학자들의 주장이 현실화된다면 튀르키예는 지금보더 더 깊은 절망의 늪으로 빠질 가능성이 크다. 현지 인프라가 집중된 이스탄불에는 현재 건물 110만 개와 아파트 4500개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이스탄불에 이번 지진과 유사한 7.5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다면, 1만3000여 개 건물은 ‘심각한’ 손상, 3만9000여 개 건물은 ‘중대한’ 손상, 13만6000여 개 건물은 ‘중간’ 손상, 30만여 개 건물은 ‘경미한’ 손상을 입을 수 있다고 분석됐다.

휘리예트는 또 이번 지진 이후 이스탄불에서 건물 검사 요청이 평소보다 90%가량 늘었다고 보도했다.

검사 결과 일부 오래된 건물의 콘크리트 샘플에서 바닷모래, 조개껍데기, 신문, 스티로폼, 나무 등 이물질이 발견되기도 했다.

현지 지자체 관계자는 “검사 결과 위험한 구조가 발견되고 철거가 필요할 경우 관련 절차가 시작된다”며 “신축 건물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건물에 콘크리트 및 지반 조사 결과 인증서가 있다면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튀르키예 남동부와 시리아 서북부를 강타한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는 18일 4만6000명을 넘어섰다. 튀르키예 내 사망자는 4만642명, 시리아 사망자는 5814명이다. 내전 중인 시리아의 사망자 통계가 며칠 째 집계되지 않는 사망을 고려하면, 실제 양국의 사망자는 5만명을 넘었을 것이라는 게 현지의 중론이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