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권영세 장관 “"김정은의 딸 김주애 , 후계자로 보기 일러"

"4세대 세습 의지는 분명한 듯

첫째 아들 존재는 아직 첩보 수준"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열린 2023년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열린 2023년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김정일 북한 국무위원장의 딸 김주애에 대해 “후계자로 보는 것은 조금 이르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권 장관은 2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선 “북한 체제가 우리보다 훨씬 더 가부장적인 남자 위주의 사회”라며 “(김 위원장이) 지금부터 후계 구도를 만든다고 하더라도 과연 군 위주로 돼 있는 북한 체제를 여성이 이끌어갈 수 있겠느냐 하는 의문이 남는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권 장관은 “어쨌든 (북한이) 4대 세습은 확실하게 하겠다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분명하다”며 “(김주애의 후계 가능성은) 그레이존(회색 지대)에 넣는 게 맞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주애의 후계 가능성이 열려 있긴 하느냐’는 물음에는 “그렇다”고 답했다.

다만 그는 “백두 혈통이 여성밖에 없다면 그때는 얘기가 조금 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위원장에게 후계자로 삼을 아들이 없을 경우 여성인 김주애가 4대 세습을 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해 권 장관은 김 위원장의 첫째 아들에 대해 “아직 첩보 수준 정도로 알고 있다”며 “존재에 대해 추측할 만한 정황은 있었지만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은 없다”고 일축했다.

한편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전날 노동당 중앙위원회 확대회의를 두 달 만에 재차 소집하고 농업 문제를 논의했다. 최근 북한 주민들은 부촌인 개성에서조차 아사자가 나올 만큼 극심한 식량난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참석자들은 회의에서 식량난을 타개하기 위한 각종 방안에 대해 논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