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기업 출퇴근때 수소버스로" 2026년까지 2000대 도입

환경부·SK E&S·현대차 등 협약 체결

추형욱(앞줄 왼쪽에서 일곱 번째) SK E&S 대표이사 사장이 4일 수소버스 앞에서 한화진 환경부장관(〃다섯 번째), 김동욱 현대차 부사장(〃두 번째) 등 관계자들과 수소 통근버스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SK E&S추형욱(앞줄 왼쪽에서 일곱 번째) SK E&S 대표이사 사장이 4일 수소버스 앞에서 한화진 환경부장관(〃다섯 번째), 김동욱 현대차 부사장(〃두 번째) 등 관계자들과 수소 통근버스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SK E&S





기업의 통근 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하기 위해 민·관이 힘을 합친다. 2026년까지 2000대 이상을 수소버스로 전환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효율적인 이동 수단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환경부와 SK E&S, 현대자동차, 전국전세버스조합 등은 4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ESG 선도 기업 수소 통근버스 전환 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환경부는 올해 250대, 2026년까지 2000대(누적)의 기업 통근 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수소버스의 성능 보증 기간을 확대하고 충분한 구매 보조금 확보를 추진한다. 또 수소버스를 도입하는 운수사업자에 ESG 경영 녹색금융을 제공하는 등 기업들의 자발적인 수소버스 전환을 유도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통근 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하는 데 차질이 없도록 지원한다. 이번에 투입하는 수소버스는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한 친환경 차량으로 한 번 충전하면 최대 635㎞를 주행할 수 있다. SK E&S는 수소버스의 연료인 액화수소를 안정적으로 생산·공급하고 충전 인프라를 적기에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올해 말 연간 최대 3만 톤 규모의 액화수소 생산이 예정돼 있으며 미국 플러그파워와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도 추진하고 있다.

고정된 노선을 장기 운행하는 통근 버스의 경우 수소버스로 전환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폭 줄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현재 국내 전세버스(경유버스) 4만여 대 중 약 88.6%(3만 5000여 대)가 통근·통학용으로 운행 중이며 이를 수소버스로 교체하면 연간 22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다. 현재 포스코이앤씨가 국내 최초로 통근용 수소버스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SK실트론·삼성전자 등도 통근버스의 수소버스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