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투자 유치 규모 中 압도…바이든 '메이드 인 아메리카' 효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22년 11월 29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 베이시티의 SK실트론 CSS 시설을 둘러보며 지안웨이 동 SK실트론 CSS 대표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22년 11월 29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 베이시티의 SK실트론 CSS 시설을 둘러보며 지안웨이 동 SK실트론 CSS 대표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지난해 미국의 외국인 직접투자(FDI) 규모가 중국을 압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 바이든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글로벌 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 확대로 이어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10일(현지시간) 코트라(KOTRA) 워싱턴 무역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FDI 유치액 1조2,810억 달러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4.9%로 기록해 중국(14.1%)보다 크게 높았다.



무역관은 “2010년부터 중국의 FDI 유치액이 미국을 추월했으나 코로나19 이후 2021년부터 미국이 중국, 유럽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해 유럽연합(EU)의 경우 FDI 유치액이 -1,477억 달러로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지난 2021년 기준으로 대미(對美) FDI가 가장 많은 국가는 일본으로 전체의 13.9%를 차지했으며, 네덜란드(12.6%), 캐나다(10.6%), 영국(10.3%), 독일(8.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의 비중은 1.5%였다.

무역관은 “팬데믹 동안 위축됐던 대미 FDI 투자가 한국, 네덜란드, 영국, 아일랜드 등으로부터 투자가 급증하면서 가파르게 회복했다”면서 “2021년 한국으로부터의 FDI는 전년에 비해 1,089% 증가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에 대한 미국의 FDI는 2021년 기준으로 381억 달러로 같은 해 한국의 대미 FDI(725억 달러)의 절반 수준 인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