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상무 “반도체법 재협상 중” 삼성·SK 영향 주목

러트닉 장관, 상원 출석해 발언

"목적은 미 납세자에 혜택 주는 것"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4일(현지 시간) 워싱턴 연방상원에서 열린 세출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AFP연합뉴스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4일(현지 시간) 워싱턴 연방상원에서 열린 세출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반도체법에 의거해 미국에 투자하는 반도체 기업에 제공한 보조금과 관련 "일부를 재협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관련기사



러트닉 장관은 4일(현지 시간) 상원 세출위원회에 출석해 "바이든 시대 보조금 중 일부가 너무 관대한 것 같았고 우리는 이를 재협상할 수 있었다"며 그 목적은 미 납세자에게 혜택을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가 이날 보도했다.

그는 "모든 거래가 개선되고 있는데, 이뤄지지 않는 거래는 처음부터 이뤄지지 말았어야 할 거래 뿐"이라고 설명했다. 로이터는 "보조금이 다 살아남지는 못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바이든 행정부 때 미국에서는 반도체법이 의회를 통과해 총 527억달러를 들여 미국 내 반도체 공장 등을 건설하는 기업에 보조금 등을 지급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테일러에 총 370억달러 이상이 투입되는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 중이며 미 상무부로부터 47억 4500만달러의 보조금을 받기로 계약한 바 있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있는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기지를 건설하기로 하고, 상무부로부터 최대 4억 5800만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계약한 상태다.


워싱턴=이태규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