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화장발 받는 'ODM 빅2'…올 영업이익률 10% 찍는다

한국콜마·코스맥스 수익성 개선

3년전 영업이익률 3~4%서 껑충

K뷰티 인기에 전체 생산량 증가

색조 등 고부가 제품군 주문도 ↑

매출도 쑥쑥…1분기 역대 최고







화장품 제조자개발생산(ODM) 업계의 양대 축인 한국콜마(161890)코스맥스(192820)가 수익성을 빠르게 끌어올리며 나란히 영업이익률 10% 달성을 눈 앞에 두고 있다. 고객사 증가에 힘입어 생산량이 크게 확대되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 데다, 최근 고부가가치 제품의 판매량까지 늘면서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콜마는 올해 영업이익 2600억 원 이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 매출액 2조 7000억 원의 10% 수준에 육박하는 수치다. 코스맥스 역시 올해 영업이익 2500억 원을 거두며 영업이익률이 10%를 돌파할 것으로 분석된다.

두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해마다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스맥스의 경우 2022년만 해도 3%에 불과했던 영업이익률이 2023년 7%, 지난해는 8%로 상승했다. 한국콜마도 2022년 4%였던 영업이익률이 2023년 6%, 지난해 8%로 단계적으로 증가했다.



업계는 생산량 증가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를 주요 요인으로 꼽는다. 실제로 양사가 생산하는 제품의 물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코스맥스는 국내 기준으로 올해 1분기 약 1억 3000만 개의 화장품을 생산했다. 전년 동기(1억 500만개) 대비 2500만 개, 2023년 1분기(9100만개)보다는 약 4000만 개 가까이 늘었다. 한국콜마도 올해 1억 900만 개를 생산해 전년 동기(1억 300만 개) 및 2023년 1분기(9000만 개)를 크게 웃돌았다.

관련기사





고객사 수가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가 늘어난 것도 수익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모두 고객사 수가 최근 4500개 수준까지 늘어났다. 기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국내 대형사뿐 아니라 로레알, 존슨앤드존슨, 록시땅 등 글로벌 기업에 더해 최근에는 동남아·중동·아프리카·남미의 인디 브랜드들이 고객사로 추가됐다.

코스맥스 관계자는 “인건비 및 원부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있지만 이전보다 다양한 고객사를 위한 다품종 제품을 판매하는 만큼 개별 단가도 오르고 있다”며 "특히 최근 들어 제품 한 개당 10가지 이상의 색상을 생산하는 등 고부가가치 제품군의 주문이 크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인 색조 제품 단가가 상승한 것이 수익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코스맥스의 경우 색조 제품 단가는 개당 1200원으로, 전년 953원보다 약 300원 올랐다.

한국 콜마 관계자 역시 “늘어난 글로벌 고객사의 직수출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고 상대적으로 마진이 크게 남는 메이크업 매출이 전년 대비 34%까지 늘어나며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매출 규모가 확대되면서 영업이익도 꾸준히 오를 전망이다. 올해 1분기 코스맥스의 매출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5886억 원, 영업이익은 13% 늘어난 513억 원이었다. 한국콜마의 1분기 매출 역시 전년 대비 11% 늘어난 2743억 원, 영업이익은 50% 증가한 339억 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생산능력(CAPA) 확충도 외형 성장에 힘을 보태고 있다. 코스맥스는 전체 기준 2024년 말 기준 연 7억 8000만 개인 생산능력을 2025년 말 10억 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대표 생산 기지인 화성 공장과 평택 1·2 공장 등 증설 작업을 대부분 완료했다. 생산량 증가에도 고정비 부담은 낮기 때문에 매출 증가는 곧 이익으로 이어진다. 한국콜마 역시 국내 생산능력이 2023년 3억 7000만 개에서 2024년 말 5억 3000만 개로 확대됐으며 올해 들어서도 지속해서 늘리고 있다.


김경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