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한때는 90% 웃돌았는데…“미국인이라 자랑스럽다” 58%로 급추락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이미지투데이




미국인들의 자부심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미국인라는 정체성에 자부심을 느끼는 비율이 뚜렷하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는 여론조사기관 갤럽의 최신 자료를 인용해 “미국인의 58%만이 미국인이라는 사실을 ‘극도로’ 혹은 ‘매우’ 자랑스럽다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조사는 미국이 이란 핵시설을 공습하기 전인 지난달 2일부터 19일까지 미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는 지난해 67%보다 9%포인트 줄어든 수치로 갤럽이 해당 조사를 시작한 2001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첫 조사 이후 2016년까지는 80% 이상이 일관되게 높은 자긍심을 보인 바 있으며 일부 시기에는 90%를 넘기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이 비율은 점차 낮아져 70%에서 60%대로 떨어졌고 올해는 처음으로 50%대까지 하락했다.

관련기사



정당별로 보면 민주당 지지층의 하락세가 가장 두드러졌다. 민주당 지지자 중에서는 36%만이 ‘극도로’ 혹은 ‘매우’ 자랑스럽다고 응답해 지난해(62%)보다 26%포인트나 급감했다. 무당층에서도 같은 기간 60%에서 53%로 감소했다.
반면 공화당 지지층은 지난해 85%에서 올해 92%로 오히려 증가하면서 양당 간 자부심 격차는 56%포인트에 달했다. 이는 해당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큰 차이다.

세대 간 차이도 뚜렷했다. Z세대(1996년 이후 출생)는 최근 몇 년간 평균적으로 41%만이 강한 국가 자부심을 드러낸 반면 밀레니얼세대(1980∼1996년 출생)는 58%, X세대(1965∼1979년 출생)는 71%, 베이비붐세대(1946∼1964년 출생)는 75%, 1946년 이전 출생한 세대는 83%로 나타났다. 나이가 많을수록 미국이라는 국가에 대해 더 높은 자긍심을 느끼는 경향이 확인된 셈이다.

갤럽은 “21세기 초만 해도 대부분의 미국 성인이 자신이 미국인이라는 사실을 자랑스럽게 여겼지만 지난 25년간 이어진 정치적 변화와 세대 간 간극이 국민적 결속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 같은 흐름은 특히 최근 10년 사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젊은 세대의 경제 불안, 국가 운영에 대한 광범위한 불만, 정당에 대한 신뢰 저하 그리고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부를 거치며 심화된 극단적 진영 대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한때는 90% 웃돌았는데…“미국인이라 자랑스럽다” 58%로 급추락


임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