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스마트농업 도입률이 일본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비슷한 인구구조의 일본이 스마트농업 도입을 통한 농업 혁신에 착수한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여전히 인적 노동에 의존해 식량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는 뜻이다.
6일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의 ‘스마트농업 실태 조사’ 보고서를 토대로 서울경제신문이 추산한 결과 국내 농가의 지난해 기준 스마트농업 도입률은 약 6.8%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농업 관련 사업에 참여한 농업경영체의 숫자를 전체 농업경영체 숫자로 나눈 값이다. 일본 정부가 발표한 스마트농업 도입률(2023년 기준)은 26.1%로 우리나라와 비교해 4배 가까이 더 높다. 지난해 한국무역협회가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국내 농가의 스마트팜 도입률이 이보다 더 낮은 1.48%에 그쳤다.
기업들의 농업 참여 수준에서도 상당한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실제 고추·배추처럼 일손이 많이 가는 노지 작물을 키우는 국내 경영체 중 법인이 스마트농법 도입에 참여한 비율은 지난해 기준 0.6%에 그쳤다. 나머지 99.4%는 농민들이 일손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스마트센서 등을 각자 도입한 사례였다. 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일본·중국 등 경쟁 국가들이 ‘농사’에서 ‘농업’으로 진화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생산성이 낮은 영세 농가들이 생계를 유지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해외 농산물 수입은 물론 대기업의 참여도 모조리 막아 경쟁력이 약화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우리 농업에 ‘파마겟돈(농업(farm)+아마겟돈)’이 임박했다는 의미다.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일본은 한국과 고령화, 쌀 중심 농사 문화 등 닮은 점이 많아 일본의 성공과 실패에서 한국의 미래를 읽을 수 있다”고 말했다.